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토박이말 되새김]온가을달 세 이레 사람의 머리가 그리 좋다고들 하지만 제 머리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온가을달 들어 밝은 해를 본 날이 몇 날인지 생각해 보니 똑똑하지 않았습니다. 어제 아침도 하늘은 낮았습니다. 집을 나섰을 때 비가 안 오나 싶었는데 보슬비가 내리고 있었습니다. 비가 올 거라는 기별을 미리 들었지만 저도 이제 좀 지겹다 싶은데 다른 분들은 저보다 더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런 비를 맞으며 아랑곳없이 노는 아이들이 마음은 저보다 어른처럼 느껴졌습니다. 흐린 날씨를 닮았는지 제 기분도 그리 맑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일이 일어나긴 했는데 밝은 해가 두터운 구름에 가려 쉽게 보이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구름 뒤에 있는 해를 보여 ..
[토박이말 맛보기]씨지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씨지다[뜻]1)살이(생물)의 한 가지가 아주 없어지다.[보기월]그 자리에서 ‘멸종하다’를 갈음할 토박이말인 ‘씨지다’를 알려 드리지 못하고 온 게 아쉬웠습니다. 어쩌다 보니 이틀 달아서 밖에 나가 일을 보고 왔습니다.그제는 하동 옥종초등학교에 다녀왔습니다. 그곳 배움이 어버이(학부형)와 갈침이(선생님)들께 ‘토박이말 놀배움’ 이야기를 해 드렸습니다. 토박이말이 아이들을 행복으로 이끄는 지름길이라는 말씀을 비롯해서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키고 북돋우어야 하는 까닭을 세 가지 말씀드리고 토박이말 놀배움 수(방법) 몇 가지를 알려드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옛배움책과 요즘 배움책을 견주어 보여 드리고 쉬운 배움책 만들기에 힘과 슬기를 보태 주십사 하는..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6- 별자리, 붙박이별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3해(1950년) 만든 ‘과학공부 4-2’의 116, 117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16쪽 첫째 줄에 ‘별자리’가 있습니다. 요즘 배움책에도 ‘별자리’라고 나오긴 하지만 다른 책에서는 여전히 ‘성좌’라는 말을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성좌’라는 한자말이 아닌 ‘별자리’라는 토박이말을 쓴 까닭이 무엇인지는 이제 다들 아실 거라 믿습니다. 117쪽 다섯째 줄에는 ‘붙박이별’이 있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항성’이라고 나오기 때문에 여느 사람들은 듣거나 본 적이 거의 없는 낯선 말일 것입니다. 이런 옛배움책이 남아 있지 않았다면, 아니 쓸모없는 것이라고 ..
[토박이말 맛보기]옹망추니/(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옹망추니[뜻]1)고부라지고 오그라져 볼품이 없는 모양. 또는 그런 몬(물건)=옹춘마니[보기월]삐익삐익 소리를 내며 힘들게 굴러가는 바퀴를 보며 제 몸도 얼른 옹망추니가 되지 않도록 잘 챙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잠을 깨고 보니 하늘이 낮아서 또 비가 온다고 했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 챙겨 밖으로 나오니 바람도 살짝 서늘했습니다. 하지만 배곳 안에 들어서니 문을 열어 놓았는데도 바람틀 없이는 지내기 어려웠습니다. 한낮(정오)이 되기 앞에 해가 나오니 덥다는 느낌을 넘어 그냥 서 있어도 땀이 났습니다. 몸을 움직이고 들어온 아이들 가운데에는 땀으로 흠뻑 젖은 아이도 있었습니다. 그런 것을 보며 아직도 더위가 온이 가신 것은 아..
[토박이말 맛보기]씻가시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씻가시다[뜻]씻어서 더러운 것이 없게 하다.[보기월]네 사람이 한 끼 먹었을 뿐인데 씻가실 그릇이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지난 닷날(금요일) 일을 마치자마자 만나기로 한 분을 만나러 갔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진 주 사투리를 모은 책을 내는 데 도움을 드리기로 했었는데 제가 맡을 일거리를 받아 들고 왔습니다. 다른 두 분은 사투리를 가지고 책을 낸 분들이신데 제가 도울 일이 있다는 것이 오히려 고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집으로 돌아와 밤까지 보내주기로 했던 일을 챙겼습니다. 앞으로 경남교육청에서 토박이말 갈배움(교육)을 어떻게 이끌어 주면 좋겠는지를 두고 모임 사람들의 슬기를 모은 것을 갈무리해 보내드렸습니다. 저희들 바람은 많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