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명을 입력해주세요.
-
토박이말 바라기 2021.03.05 0 comment
타이틀명을 입력해주세요.
인기글 보기
토박이말 바라기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날파람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
토박이말 바라기 2021.03.05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나이배기 #동안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말 바라기 2021.03.04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좋은말씀 #명언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말 바라기 2021.03.03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온봄달 #3월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
토박이말 바라기 2021.03.02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끌끌하다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
토박이말 바라기 2021.02.26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터박이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노래 #바람만바..
토박이말 바라기 2021.02.25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아들 #딸 #좋은말씀 #명언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토박이말 바라기 2021.02.24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길트기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토박이..
토박이말 바라기 2021.02.23 0 comment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꾸미 #고기꾸미 #터박이말 #참우리말 #..
토박이말 바라기 2021.02.22 0 comment
02월˘한말글 오늘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한말글 오늘/02월 오늘 2015.02.24 0 comment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한말글 오늘/02월 오늘 2015.02.23 0 comment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한말글 오늘/02월 오늘 2015.02.17 0 comment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한말글 오늘/02월 오늘 2015.02.09 0 comment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한말글 오늘/00월 오늘 2015.01.01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2011년~2020년, 한말글 현대사
-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
국회에서는 국회 상징인 국회기와 배치를 ‘國’(나라 국)자를 한글로 ‘국회’로 바꾸는 법안 발표...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
울산시 중구청, 최현배 탄생지인 울산시 중구청에서 ‘울산광역시 중구 한글사랑 지원에 관한 조례안’..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날’이 1990년 공휴일에서 빠진 후 21년만에 공휴일로 다시 정함.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
세종학당재단, 국어기본법 개정, 공포, 시행(법률 제11424호. 2012. 5.23. 일부개정, 2012.8.24, 시행)에..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
서울시, 세종대로 일대 47만㎡에 ‘한글 마루지’ 조성 발표. {서울특별시} 자료: 시정소식 관련 내용보..
한말글 현대사/2011년~2020년 2014.10.30 0 comment
2001년~2010년, 한말글 현대사
-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처음으로 ‘한글날’을 국경일로 정함. 국경일에 관한 법률. 법률 제7771호(200..
한말글 현대사/2001년~2010년 2014.10.30 0 comment
-
‘국어기본법’ 만듦. 법률 제7368호(2005.1.27. 공포)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2001년~2010년 2014.10.30 0 comment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8588호 2004.11.11.)으로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국..
한말글 현대사/2001년~2010년 2014.10.30 0 comment
-
민주당 제주 국제 자유 도시 정책 기획단(단장 이해찬, 총괄분과위원장 김윤식)은 ‘제주 국제 자유 도..
한말글 현대사/2001년~2010년 2014.10.3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91년~2000년, 한말글 현대사
-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발표. 1992년 6월 17일 남북한이 프랑스에서 기계화..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김종필 총리가 행정자치부에 주민 등록증 한자 병기 검토 지시·시행. {조선일보} 자료: 주민증 이름 한..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도로 표지판과 공문서에 한자 병용 발표. 김종필 총리와 신낙균 문화 관광부 장관은 도로 표지판과 공문..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율촌 장학회(이사장 신춘호 농심회장)는 국한문 혼용 교과서인 ‘중학교 한국어’ 1~3학년용 6책을 간..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소설가 복거일, 경향신문 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라 주장하여 영어 공용..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훈민정음 해례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1997년 9월 29일부터 1..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김영삼 대통령의 세계화 선언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조기 교육 발표. (1996년부터 시행) {조..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운동가이자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 공병우 박사 세상 떠남(1906~1995). 안과 의사, 한글 기계화 운..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문화체육부. 문화체육부와 국어정보학회, 조선일보가 컴퓨터용어 순화 검토위원회를 만들어 ‘컴퓨터..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옥외 광고물 관리법 중 한글 쓰기 규정. (9월 25일부터 시행) 모든 옥외 광고물의 문자는 한글 맞춤법,..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남북한, 프랑스에서 기계화를 위한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통일안에 합의.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91년~2000년 2014.10.3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81년~1990년, 한말글 현대사
-
대법원, 인명용 한자로 2,731자만 이름에 쓰도록 결정. 1991년 4월 1일부터 실시. 후원 안내. 지음권 알..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3155호. 1991년 1월 1일 부터 한글날을 공휴일에서 빼기로..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국무회의, 공휴일 변경 의결, 한글날을 공휴일에서 빼기로 의결.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유네스코, 문명퇴치 공로상인 만들고 1990년 부터 대상자를 뽑아 문맹퇴치의 날인..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고시 제88-1호 문교부 주관으로 1988년 1월 19일에 일반인에게 알리고 ‘한글 맞춤법’을 시행...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새로운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널리 알림.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학술원 산하 임의 연구기관인 '국어연구소(소장: 김형규)' 창립. '국어연구소'는 대통령령 제13163호(19..
한말글 현대사/1981년~1990년 2014.10.3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71년~1980년, 한말글 현대사
-
1933년 10월 29일 조선어 학회(현 한글 학회)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를 크게 고침. {한글 학회} 자료..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 한글보람을 가슴에 달자는 운동을 1977년 10월 6일 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에서..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초등학교 한자 교육 부활 않기로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문교부 민관식 장관은 '교과서 한자 병용 방침'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학회 월간 학회지 을 펴냄. 은 실천 말글 운동을 주도함. 후원 안내...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확정.(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김종필 총리와 민관식 교육부 장관은 교육용 기초한자 1,781자 선정 발표. {조선일보} 자료: 한..
한말글 현대사/1971년~1980년 2014.10.3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61년~1970년, 한말글 현대사
-
한글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경남 울산에서 태어남. 경성 고등 보통 학교(현 경기고)와 주시경이 세운..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자 없는 교과서로 순 한글 교육 실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교과과정 개정령 공포. 한자 교육 근거 삭제, 교과서 한자 삭제. {국가기록원} 자료: 자료마당/기록물정..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 외래어 한글 표기법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이희승 등 국어 학자 140명, 한글전용반대 성명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국무총리, 서식 정비 지시(제3호) – 등기, 호적사항 한글 전용 기본 방침. {국가기록원} 자료: 자료마당..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전용 연구위원회 설치. 대통령령 제3925호. {국가기록원} 자료: 자료마당/기록물정보콘텐츠/주제..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전용에 관한 국무총리 훈령 제68호. 정부는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을 1948년 10월 9일에 제정하고,..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전국 17개 대학으로 구성된) 각 대학 국어운동학생회 연합회가 제1차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 한글전용..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덕수궁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첫 번째 ‘꽃 바치는 자리’를 마련하여, 12개 대학교 국어운동학생회 대..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 전용 촉진 7개항.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지 520년이 넘도록 한글을 전용하지..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덕수궁에 세종 큰 임금 동상 세움.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지침(안) 발표 국무회의 의결. 상용 한자는 1968년도에는 2,000자, 1969년도에는..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안 발표. 문교부: 현재 상용 한자 1,300자를 오는 1969년까지 700자로 줄이고, 그..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박정희 대통령이 국무총리 정일권에게 보낸 편지. (1) 한글 완전 전용을 최종목표로 한다. (2) 한글 전용..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세 대학이 공동으로, ‘대통령께 드리는 건의문’을 채택하고 한글운동에 앞장..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서울대학교 국어운동학생회가 한말글 이름 펴기 운동의 하나로 시행하는 첫번째 ‘고운 이름 뽑기’ 행..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국어운동 횃불 점화식"이라는 이름으로 학생 17명과 허웅 교수, 신익성 교..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 전용에 대한 법률 개정(안)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정부 공문서 규정, 제7조 문서용어, 대통령령 제2056호 문서는 한글로 띄어서 가로 쓰며, 표준어를 사용..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문교부령으로 학교문법 통일안 발표. 중학교는 1965년부터, 고등학교는 1966년부터 시행하기로 함. 후..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제70호로 등재. {문화재청} 자료: 문화유산정보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법원 공문서 규칙, 대법원 규칙 제90호 공포. 제3조 (문서 형식). 모든 문서는 표준말인 한글 국어 체로..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개정 추진. 1962년 3월 부터 신문, 잡지, 기타 모든 간행물에 한글을 전용시키도..
한말글 현대사/1961년~1970년 2014.10.30 0 comment
1951년~1960년, 한말글 현대사
-
한글 전용 실천 요강(국무회의의결 1958.1.1. 부터 시행) (1) 공문서는 반드시 한글로 쓴다. 그러나 한글..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한글 학회. (모두 6권)을 30년만에 완간.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이승만 대통령은 한글 전용을 다시 강조.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이승만 대통령은 한글 전용을 강조.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표기법 간소화 공동안 폐지. 이승만 대통령은 '민중들이 원하는 대로 하도록 자유에 부치고자 한다'는..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표기법 간소화 공동안. 문교부, 공보처. (1) 받침은 끝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에 한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국무총리훈령 제8호. 현행 철자법 폐지와 구식 기음법(記音法) 사용.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51년~1960년 2014.10.29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46년~1950년, 한말글 현대사
-
교과서에 한자사용 건의안’을 국회에서 25명의 긴급 결의안으로 체택.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한글 간소화 파동. (이 승만 대통령 담화문)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맞춤법 시행 방침과 관련하여..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에서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꿈. `한글 학회`는 `국어 연구 학회(1908.8.31.)`, `배달 말글..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법률 제6호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한글 전용법 제정 건의문’을 냈고, 1948년 10월 1일 국회 제78차 회의에 상정. 재석 131..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제1권 발행.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정부에서 ‘한글날’을 공휴일로 정함.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 대통령령 제124호(1946.6.4. 제정)..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2014.10.29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900년~1945년, 한말글 현대사
-
미 군정청. (1) 한자 폐지 여부에 관한 일. ① 초등, 중등 교육에서는 원칙적으로 한글을 쓰고 한자는 안..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미군정법령 제6호 4조. 조선 학교에서 교육 용어는 조선어로 한다.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곧, 한글 학회)가 일제에 압수당했던 원고,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 후원 안내. 지..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미국 태평양 방면 육군 총사령부(사령관: 맥아더) 포고 제1호 5조. 군사적 관리하는 동안에는 모든 목적..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사건. 1942년 10월 1일부터 1943년 4월 1일까지 사전 편찬 위원과 재정보조자 33명을 모두..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일제, 조선어 학회가 편 93호로 폐간.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발표.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일제의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령’(1998년 3월 3일)에 따라 조선말을 모든 학교 교과목에서 완전히..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고등 보통 학교 과목에서 한문을 없앰.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한글 맞춤법 통일안’ 발표. {한글 학회} 자료: 자료 마당/한글 맞춤법 통일안 후원 안..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학회 월간 학술 학회지 첫 호를 펴냄.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만식, 양주동 등 한글 연구회 조직.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조선어 연구회(지금은 한글 학회)는 ‘가갸날’이라 해서 한글 반포를 기념. 그 동안에는 언문, 반절,..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임 경재 최 두선 등 7여명, ‘조선어연구회’ 창립. 1931년엔 ‘조선어학회’, 1949년엔 ‘한글 학회’..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한글 학자 주시경(1876.12.22.~1914.7.27.) 세상 떠남. 황해도 봉산군 무등골에서 태어난 주시경은 배재..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국어 연구 학회’ 창립.(회장: 김정진) ‘국어 연구 학회’는 ‘배달 말글 몯음(1911.9.3.)’, ‘한글..
한말글 현대사/1900년~1945년 2014.10.29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800년대, 한말글 현대사
-
고종 33년, 최초 민간 신문인 창간. 서재필이 창간한 은, 등록은 서재필의 사유..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
고종 32년, 고종칙령 제86호 공문식 제9조 법률명령은 모두 국문으로 적고 한역(한문으로 번역하는 일)..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
고종 31년, 고종 칙령 제1호 공문식 14조 법률칙령, 모든 글은 국문(곧, 한글)을 바탕으로 하고 한문은..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
고종 31년, 한글 학자 외솔 최현배(1894~1970) 태어남.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
미국인 선교사, 육영공원 교사,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인 호머 베잘렐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1..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
고종 13년, 한글 학자 한힌샘 주시경(1876~1914) 태어남.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800년대 2014.10.29 0 comment
1500년대~1600년대, 한말글 현대사
-
허균(1569~1618), 최초 한글 소설 지음. 2016/01/15 - [고치고 보탬/2014.10.16.~차이] - [..
한말글 현대사/1500년대~1600년대 2014.10.29 0 comment
-
중종 22년, 최 세진 편찬. 한글 자모의 이름을 처음 정하고 순서와 받침을 정리. 글자 수는..
한말글 현대사/1500년대~1600년대 2014.10.29 0 comment
-
카테고리명 0000.00.00 0 comment
1300년대~1400년대, 한말글 현대사
-
세종 32년, 세종 큰 임금 세상 떠남. 1397~1450. 재위: 1418~1450 {한글 학회} 자료: 세종 대왕 후원 안..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9 0 comment
-
세종 28년, 훈민정음 반포. 후원 안내. 지음권 알림.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8 0 comment
-
세종 27년, 용비어천가 완성.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인 용비어천가는 조선 창업을 칭송한 것으로..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8 0 comment
-
세종 25년, 훈민정음 만듦. 2016/01/15 - [고치고 보탬/2014.10.16.~차이] - [고침] 1443년 12월과 오늘..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8 0 comment
-
세종 2년, 세종 큰 임금, 왕실연구기관 집현전 설치. 집현전에서는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8 0 comment
-
세종 큰 임금 태어남. 1963년 청소년 적십자사 중앙 학생 협의회(J.R.C.)에서 5월 26일을 스승의 날로..
한말글 현대사/1300년대~1400년대 2014.10.28 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