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 수사의 발달김광해 1. 머리에2. 국어의 수사3.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의 실현4. 정리 참고서적
▼-------------------------------------------------------- 국립국어원에서 2015년 8월 19일 요청으로 "공공누리 유형별 지음권 안내"를 담습니다.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제2유형: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제3유형: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제4유형: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국어 순화손순희 1. 서론 …………………………1 (국어순화의 정의) 2. 본론 …………………………1 2.1. 우리말 발전의 저해요인 …………1 2.1.1 국어 속에 숨어있는 일본말 …………2 2.1.2 국어 속의 서양말 잔재 …………3 2.1.3 외국말 홍수의 실태 …………5 2.2 우리말 정리의 중요성 …………6 2.3 우리말 가꾸는 방법 …………7 2.4 국어 보존․발전의 방향 …………10 3. 결론 …………………
국어 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허웅 Ⅰ. 현대 한국어의 실태와 그 분석 1. 우리말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2. 우리 낱말 체계가 안고 있는 문제 3. 문제의 요인 분석Ⅱ. 순화해야 하는 근본 이유 몇 가지 1. 언어의 전달 기능으로 보아서 2. 말과 생각의 관계로 보아서 3. 말을 생성 창조의 본질로 보아서Ⅲ. 국어 순화의 방법 1. 토박이말의 순화 - 고운말 바른말 쓰기 2. 한문식 말투와 한자말 - 쉬운, 토박이말로 3. 서양 외래어 -쉬운 토박이말과 쉬운 한자말로 4. 일본말과 일본식 한자말 5. 마무리Ⅳ. 성공으로 이끄는 길 1. 반대 의견 2. 토이기의 예 3. 실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