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 순화와 올바른 언어 생활최종원 1. 국어 속에 도사리고 있는 일본말2. 국어 속의 서양말 찌꺼기3. 외국말 홍수의 실태3. 우리말이 나갈 길4. 우리말이 힘 펴는 길5. 맺음말 참고도서
국어순화(우리말 속의 일본어)이은애 서론2 본론2Ⅰ. 일본어의 간섭 3 1. 기원 전 2세기에서 기원 7세기까지3 2. 통일 신라 이후의 땅이름의 바뀜과 의식 구조3 3. 경덕왕(757) 때의 토박이말의 수난3 4. 고려(928)에서 조선조까지4 5. 조선조 초기에서 대한제국 말까지5 6. 이두식 표기를 살리고 우리말 깎아 내림5 7. 일제 침략 시대6 8. 1945년 광복에서 현재까지7 Ⅱ. 우리말 속의 일본말7 1. 잘못 쓴 일본말 찌꺼기8 2. 일본말 표현10 3. 우리말 바로 쓰기 11 Ⅲ. 국어 순화12 1. 국어순화 까닭과 방향12 2. 우리말이 힘 펴는 길12 3. 국어순화 교육14 결론15 참고 자료17
국어 어휘론의 지평김광해 가. 서설나. 어휘론의 대상과 영역 1. 어휘 연구의 대상 2. 어휘 연구의 영역 가) 어휘의 계량에 관한 연구 나) 어휘의 체계에 관한 연구 다) 어휘의 양상에 관한 연구 1) 어휘의 변이에 관한 연구 2) 어휘의 팽창에 관한 연구 라) 어휘소의 공시적 관계에 관한 연구 마) 어휘소의 통시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바) 어휘의 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 사) 광의의 어휘론 - 사전다. 어휘론의 기본 개념 - 어휘와 어휘소 1. 어휘 가) 개별적인 단어들의 집합 나) 단어들의 체계적인 집합 2. 어휘소라. 어휘력과 어휘교육 1. 어휘력과 언어능력 2. 어휘력의 위상 3. 어휘력의 가치 4. 어휘 교육마. 맺으며 참고 서적
국어 어휘사 연구 자료 목록- 소리 바뀜을 중심으로 -박홍길 1. 닮음 1) 앞홀소리되기 2) 둥근입술소리되기 3) 닿소리 이어바뀜 4) 입천장소리되기 5) 홀소리 닮음 6) 울림소리되기 7) ㅸ의 홀소리되기 8) 흐름소리되기2. 줄임3. 없앰 1) 홑홀소리되기 2) 홀소리 떨어지기 3) 닿소리 떨어지기 4) 동음 생략4. 달라짐 1) 닿소리 2) 홀소리5. 덧보탬 1) 닿소리 2) 홀소리 3) 뒷가지 4) 어찌씨의 꼴바뀜 5) 매김씨의 꼴바뀜 6) 토씨의 꼴바뀜 7) 문법소의 꼴바뀜 8) 합성어․준말의 사라짐 9) 합성어․설명어의 갈음 10) 동음어의 회피 11) 단음절어의 다음절어되기 12) 새말․한자말의 갈음6. 강화 1) 닿소리 2) 홀소리7. 잘못 돌이킴8. 자리 바꿈 1) 닿소리 2) 홀소리 ..
▼-------------------------------------------------------- 민현식 님이 2015년 8월 18일 요청으로 뭉치(파일)는 "비공개"합니다. ▲-------------------------------------------------------- 국어 오용 어법론민현식 1. 연구 목적과 방법 2. 음운 영역의 오용과 지도법 2.1. 자음의 발음 및 표기의 오용 2.1.1. 자음군의 오용 2.1.2. 절음과 연음의 오용 2.1.3. 두음 법칙과 속음 현상의 오용 2.1.4. 자음 동화의 오용 2.1.5. 자음 첨가의 오용 2.1.6. 상관 대립의 오용 2.2. 모음의 발음 및 표기의 오용 2.3. 끊어 읽기의 오용 2.4. 장음과 단음의 오용 3. 형태 영역의 오용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