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 보조동사의 특성 1. 들머리2. 국어 보조동사의 개념3. 보조동사의 특성과 판별 기준 3.1 구문론적 특성 3.2 의미적 특성 3.3 화용론적 특성 4. 마무리
국어 부사형어미 구문과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Ⅰ. 서론Ⅱ. 부사형어미 구문의 통사적 지위와 논항구조Ⅲ. 상위문 동사군의 논항구조와 의미역 배당Ⅳ. 부사형어미의 문법범주와 기능자질 참고 문헌
국어학사 연습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제1부 개화기에서 해방까지1. 문법학설의 세 체계와 단위 1.1. 문법학설의 세 체계/ 5 1.2. 문법의 단위/ 62. 낱말 2.1. 낱말의 정의/ 11 2.2. 낱말의 분류/ 12 2.3. 낱말의 구조/ 183. 월의 구조 3.1. 주시경(1910)/ 23 3.2. 김두봉(1922)/ 41 3.3. 최현배(1937)/ 484. 낱말의 하위 분류 4.1. 주시경, 김두봉, 김윤경/ 73 4.2. 최현배(1937)/ 100 4.3. 이극로(1935)/ 131 4.4. 정렬모(1946)/ 133 4.5. 김희상(1911)/ 157 4.6. 안확(1917,1923)/ 160 4.7. 박승빈(1935)/ 160 4.8. 홍기문(1946)/ 162 4.9. 서정수(1996)/..
국어 사전에서의 합성어 처리에 관한 연구김광해, 김동식 1.머리말 2.합성어의 이론 합성어란 무엇인가? 합성어의 규정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신형 합성어와 임시적 합성어 .합성어의 인식 가.명사류 고유어로 된 합성어 한자 합성어 혼종 합성어 나.동사류 3.실제 합성어의 사전 처리 합성어의 올림말 잡기 백과사전적인 경우의 명칭의 처리 범위 그래도 남는 문제 형태의 처리 방안 .합성어의 제시 방법 4.사례 연구 5.요약 및 결론 부록1. 합성어 판정에 관한 기존 연구의 기준들부록2. 기존 사전의 합성어 처리 결과 비교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