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제주방언에서의 동사어미 -an/-ən 교체현상김원보 1. 서론2. 계층적 자질표시와 제주방언의 모음체계3. 제주방언에서 동사어미의 모음조화 현상4. 결론 참고문헌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연구 대상 및 논의의 구성2 1.3 연구에 이용된 자료3 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 과정 5 2.1 기존의 논의5 2.2 ‘-엄시-’,‘-어시-’,‘-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8 2.2.1 ‘-엄시-’, ‘-어시-’의 분포8 2.2.1.1 어간과의 통합 관계9 2.2.1.2 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1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2 연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6 2.2.1.2.3 선어말어미와의 통합 관계18 2.2.1.3 이형태 목록과 교체 조건21 2.2.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지위 25 2.2.2.1 선어말 어미의 ‘-엄시-..
제주도 방언의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84호)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모음의 분포와 변화 --------------------------------------------- 7 2.1 단모음의 변화 ------------------------------------------------- 7 2.1.1 ''의 변화 ----------------------------------------------- 7 2.1.1.1 어두음절 ---------------------------------------------- 9 2.1.1.2 비어두음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