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과에서의 학교 문법 교육의 위상과 실제이관규 1. 머리말2. 교육 과정에서의 학교 문법 교육의 위상3. 교과서에서의 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4. 『고등 학교 문법』 과목의 선택 및 수업 현황5. 맺음말 : 문제점의 극복 방안 참고문헌
국어교육 98호한국국어교육연구회 뭉치가 망가짐. 김균태이무영 문학 연구. 김봉군이인직 소설 의 담론 특성. 김영택, 최종순뭉치가 망가짐. 서덕현양우정의 시연구. 서범석뭉치가 망가짐. 이석주국어 지식 교육을 위한 교과서 설계 방안 연구. 이성영뭉치가 망가짐. 이주영남북한의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쓰인 언어 비교 분석 연구. 이주행통합 교육의 실상과 그 문제점. 이지호뭉치가 망가짐. 이충우서사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그 구안에 대한 연구. 임경순매체 변화에 대응하는 국어 교육. 최영환뭉치가 망가짐. 최인자
국어교육 99호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 대우법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 '님, 분'의 쓰임을 중심으로 -. 김상대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변화 양상 고찰. 박경주작문 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박영목의사소통 기능 교육의 국어학적 원리. 왕문용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방향. 원진숙사자성어의 활용 방안에 관한 시론. 이신성, 신원기최인훈 소설 「구운몽」의 담론특성에 대하여. 이인숙말하기․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 전은주한용운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그 의미. 한점돌
『글자의 혁명』(1956)에 나타난 최현배의 한글 풀어쓰기론 연구황호성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1.2. 풀어쓰기와 모아쓰기의 비교 ‥‥‥‥‥‥‥‥‥‥‥‥‥‥‥‥32. 『글자의 혁명』(1956) 이전 풀어쓰기론 개괄 ‥‥‥‥‥‥‥‥‥‥6 2.1. 주시경의 연구 ‥‥‥‥‥‥‥‥‥‥‥‥‥‥‥‥‥‥‥‥‥‥6 2.2. 그밖의 연구 ‥‥‥‥‥‥‥‥‥‥‥‥‥‥‥‥‥‥‥‥‥‥‥103. 『글자의 혁명』(1956) 분석 ‥‥‥‥‥‥‥‥‥‥‥‥‥‥‥‥‥‥11 3.1. 풀어쓰기의 근거 ‥‥‥‥‥‥‥‥‥‥‥‥‥‥‥‥‥‥‥‥‥12 3.2. 새 글자 제작의 원리 ‥‥‥‥‥‥‥‥‥‥‥‥‥‥‥‥‥‥‥20 3.3. 풀어쓰기용..
정보시대 한글 문제김슬옹 한국인의 훈민정음과 삼성전자의 훈민정음/김슬옹3정보시대 한글의 굴레를 벗자/김슬옹15한글은 음소문자인가 음절문자인가/김슬옹17전자출판에 대한 잘못된 통념/김슬옹19통신 언어 담론/김슬옹 20글틀 프로그램의 한글 지원/김중태22’96 우리글 컴퓨터 처리 국제 학술 대회의 합의 과정과 배경, 그리고 의의/김슬옹 28조선왕조의 훈민정음과 정음의 기능/이우성53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강만길56세종과 최 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김슬옹61세종 탄신 600돌의 진정한 의미 설정을 위하여/김슬옹63말글살이의 위대한 변혁 해설서 「훈민정음」/김슬옹65Writing Right/다이아몬드70올바른 표기법 /다이아몬드 글 번역:이광호78정보화 시대에서의 한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