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 본문

곳간/한말글 곳간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5. 9. 3. 07:00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

문숙영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대상 및 논의의 구성 2

  1.3 연구에 이용된 자료 3


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 과정 5

  2.1 기존의 논의 5

  2.2 ‘-엄시-’,‘-어시-’,‘-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 8

    2.2.1 ‘-엄시-’, ‘-어시-’의 분포 8

      2.2.1.1 어간과의 통합 관계 9

      2.2.1.2 어미와의 통합 관계 10

        2.2.1.2.1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 10

        2.2.1.2.2 연결어미와의 통합 관계 16

        2.2.1.2.3 선어말어미와의 통합 관계 18

      2.2.1.3 이형태 목록과 교체 조건 21

    2.2.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지위 25

      2.2.2.1 선어말 어미의 ‘-엄시-’와 ‘-어시-’ 26

      2.2.2.2 통사적 구성의 ‘-엄 시-’, ‘-어 시-’, ‘-어 나시-’ 29

  2.3 ‘-어시-’, ‘-엄시-’, ‘-어 나시-’의 형성 과정 33

    2.3.1 ‘-어시-’의 형성 33

    2.3.2 ‘-엄시-’의 형성 39

    2.3.3 ‘-어 나시-’의 형성 44


3. ‘-엄시-’, ‘-어시-’, ‘-어 나시-’의 의미 기능 48

  3.1 상․시제․시상 48

  3.2 ‘-엄시-’의 의미 기능 49

    3.2.1 진행상 51

    3.2.2 반복상 55

    3.2.3 습관상 57

    3.2.4 상태 지속   58

    3.2.5 상태의 점진적 변화 59

    3.2.6 현재시제 62

  3.3 ‘-어시-’의 의미 기능 64

    3.3.1 결과상과 완료상 66

    3.3.2 완결상 70

    3.3.3 과거시제 71

  3.4 ‘-어 나시-’의 의미 기능 71

    3.4.1 대과거 72

    3.4.2 종결결과와 종결완료 73

  3.5 ‘-엄시-’ ‘-어시-’ ‘-어 나시-’의 상관 관계 74

 

4. ‘-느-’의 문법적 특징과 의미 기능 76

  4.1 기존의 논의 76

  4.2 ‘-느-’의 분포 77

    4.2.1 어간과의 통합 관계 77

    4.2.2 어미와의 통합 관계 79

      4.2.2.1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 79

        4.2.2.1.1 평서형 어미와의 통합 관계 80

        4.2.2.1.2. 의문형 어미와의 통합 관계   85

      4.2.2.2 연결어미와의 통합 관계 93

      4.2.2.3 선어말어미와의 통합 관계 93

  4.3 ‘-느-’의 의미 기능 94

    4.3.1 현재 시제 94

    4.3.2 양태 의미 97

  4.4 ‘-엄시-’와 ‘-느-’의 상관 관계 99


5. 결론       102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151호).hwp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