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글자의 혁명』(1956)에 나타난 최현배의 한글 풀어쓰기론 연구(황호성) 본문
『글자의 혁명』(1956)에 나타난 최현배의 한글 풀어쓰기론 연구
황호성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1.2. 풀어쓰기와 모아쓰기의 비교 ‥‥‥‥‥‥‥‥‥‥‥‥‥‥‥‥3
2. 『글자의 혁명』(1956) 이전 풀어쓰기론 개괄 ‥‥‥‥‥‥‥‥‥‥6
2.1. 주시경의 연구 ‥‥‥‥‥‥‥‥‥‥‥‥‥‥‥‥‥‥‥‥‥‥6
2.2. 그밖의 연구 ‥‥‥‥‥‥‥‥‥‥‥‥‥‥‥‥‥‥‥‥‥‥‥10
3. 『글자의 혁명』(1956) 분석 ‥‥‥‥‥‥‥‥‥‥‥‥‥‥‥‥‥‥11
3.1. 풀어쓰기의 근거 ‥‥‥‥‥‥‥‥‥‥‥‥‥‥‥‥‥‥‥‥‥12
3.2. 새 글자 제작의 원리 ‥‥‥‥‥‥‥‥‥‥‥‥‥‥‥‥‥‥‥20
3.3. 풀어쓰기용 한글의 제작 ‥‥‥‥‥‥‥‥‥‥‥‥‥‥‥‥‥25
3.4. 새로운 한글 자모에 대한 해설 ‥‥‥‥‥‥‥‥‥‥‥‥‥‥29
4. 최현배 풀어쓰기론의 계승 ‥‥‥‥‥‥‥‥‥‥‥‥‥‥‥‥‥‥‥33
4.1. 『글자의 혁명』(1956)이후의 정세 변화 ‥‥‥‥‥‥‥‥‥‥33
4.2. 풀어쓰기의 연구 ‥‥‥‥‥‥‥‥‥‥‥‥‥‥‥‥‥‥‥‥‥34
5. 풀어쓰기론 성과에 대한 검토 ‥‥‥‥‥‥‥‥‥‥‥‥‥‥‥‥‥‥39
5.1. 전면적인 풀어쓰기의 가능성 검토 ‥‥‥‥‥‥‥‥‥‥‥‥‥39
5.2. 풀어쓰기의 사용가능 분야 ‥‥‥‥‥‥‥‥‥‥‥‥‥‥‥‥‥41
5.3. 모아쓰기 원칙의 부분적 해체 필요성 ‥‥‥‥‥‥‥‥‥‥‥‥43
6. 결론 ‥‥‥‥‥‥‥‥‥‥‥‥‥‥‥‥‥‥‥‥‥‥‥‥‥‥‥‥‥‥44
참 고 문 헌 ‥‥‥‥‥‥‥‥‥‥‥‥‥‥‥‥‥‥‥‥‥‥‥‥‥‥‥‥47
요약 ‥‥‥‥‥‥‥‥‥‥‥‥‥‥‥‥‥‥‥‥‥‥‥‥‥‥‥49
'곳간 > 한말글 곳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1)(이관규) (0) | 2015.09.05 |
---|---|
국어과에서의 학교 문법 교육의 위상과 실제(이관규) (0) | 2015.09.05 |
국어교육 98호(한국국어교육연구회) (0) | 2015.09.04 |
국어교육 99호(한국국어교육연구회) (0) | 2015.09.04 |
정보시대 한글 문제(김슬옹) (0) | 2015.09.04 |
정속언해(허재영) (0) | 2015.09.03 |
정보 전달하는 말하기(김복주, 안경섭, 이은영, 홍연택) (0) | 2015.09.03 |
제주방언에서의 동사어미 -an/-ən 교체현상(김원보) (0) | 201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