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들말마을배곳 갈침이님들은 새참을 챙긴다고 모여 수고를 하신다는 기별을 보았는데 걱정거리가 있습니다. 걱정을 한다고 걱정이 사라지면 걱정이 없겠다는 말이 있지만 겪배움을 가는 날 한바람이 온다니 걱정이 앞섭니다. 저희가 떠나는 날 아침에는 좀 참아주고 저희가 가는 충주와 여주까지는 안 왔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배움이들과 늘푸른자연학교 아이들이 만나 토박이말 놀배움을 하는 데 아무런 걸림돌이 없어야 하니까요. 오갈 때 나눌 이야기와 저녁 때 지은이와 마주이야기 때 할 거리도 마련을 해야 해서 마음이 바쁩니다. 6배해 아이들과 배움마당 갈무리를 하고 널알림감 뽐내기를 하기로 했는데 어떤 널알림감이 나올 것인지 기다려지네요. 알찬 널알림감을 만드는 것도 좋지만 서로 마음을 맞추고 구실을 나눠 하는 것을 즐겼으면..
어제 낮에는 뜻깊은 만남이 있었습니다. 들말마을배곳을 만들고 꾸리는 데 여러 가지 도움을 주신 진주시의회 서은애 의원님께서 진주에서 일어나 불고 있는 토박이말 놀배움 바람을 널리 알릴 수를 찾아 보자며 마련하신 자리였습니다. 자리에 함께해 주신 서경방송 김현우 기자님과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제가 드린 말씀을 가지고 일터에 가서 이야기를 해 본 뒤 다시 만나기로 했습니다. 일이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마련해서 토박이말 놀배움을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게 되길 바랍니다. 저녁에는 토박이말바라기 꾸림빛 모임이 있었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한 일을 돌아보고 또 앞으로 할 일을 챙겨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코앞으로 다가온 여름 겪배움 때 알고 있어야 할 것들 챙겨야 할 것들을 ..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2 공, 지름, 돌대, 곧은금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4해(1951년) 펴낸 ‘셈본 6-1’의 58쪽, 59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58쪽 첫째 줄에 ‘바로 옆’이 나오고, 둘째 줄에 ‘바로 위’가 나옵니다. 이 말은 요즘 책에서뿐만 아니라 나날살이에서도 쓰는 말이라 다들 익으실 것입니다. 이렇게 옛날 배움책과 요즘 배움책에서 두루 쓰고 있고 ‘직측면’, ‘직상’이라는 어려운 말을 쓰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배우는 아이들 자리에 서서 어떤 말이 더 쉬운 말인가를 생각해 보면 바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섯째 줄에 아주 반가운 말이 보입니다. 바로 ‘공’이라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갖고 놀기 좋아하는 ‘..
한날(월요일)은 아이들도 어른들도 다 힘든 날인가 봅니다. 아침부터 땀을 흘리며 나오는 저를 보나 힘없이 터벅터벅 걸어오는 아이들을 보며 든 생각입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아침마다 제가 챙기는 하루 일은 챙기는 데 들이는 때새와 힘에 견줘 볼 때 그리 보람은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으로 하고 있습니다. 들말마을배곳에서 마련한 토박이말 여름 겪배움(체험학습)을 챙기고 있습니다. 갈 사람들이 아직 다 가려지지 않아 못 하는 일이 하나 있는데 그것 빼고는 이제 거의 다 된 듯합니다. 늘푸른자연학교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어서 아주 알찬 겪배움이 될 것 같긴 하지만 즐거운 겪배움이 되도록 좀 더 꼼꼼하게 챙겨야겠습니다. 오랜만에 혼자 마실을 나갔다 왔..
지난 닷날(금요일) 들말마을배곳은 놀배움에 돌잔치가 더해져 더욱 뜻이 깊었습니다. 책을 빌려와 책 속에 나오는 이름들을 찾아 적어 보면서 토박이말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아보도록 했습니다. 그렇게 아이들은 시나브로 말에 마음을 쓰게 될 것입니다.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두루빛이면서 들말마을배곳 갈침이신 이진희 님의 돌잔치가 열렸습니다. 함께 기뻐하며 손뼉은 말할 것도 없고 편지에 마음을 담아 주는 걸을 보며 제 마음도 흐뭇했습니다. 갓 삶은 따뜻한 옥수수를 새참으로 보내 주시고 맛있는 통닭까지, 아이들 입이 귀에 걸리는 것을 보았습니다.^^ 엿날(토요일)에는 이레끝 놀배움터와 이바지하기(봉사활동)가 있었습니다. 놀배움터에 온 아이들과 이바지하기를 온 푸름이들이 함께 책 속에 있는 토박이말과 들온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