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5년 3월 10일 화요일에 고친 내용입니다. 고치기 전고친 뒤 ● 1995년 3월 7일한글 운동가이자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 공 병우 박사 세상 떠남(1906~1995). 안과 의사, 한글 기계화 운동가, 사진작가로 활동. 평안북도 벽동 출생. 1926년 조선의사 검정시험에 합격, 36년 일본 나고야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38년에는 공안과 병원장에 취임하였다. 이후 한글타자기 개발에 전념하였으며, 공 병우 식 국문 타자기를 발명하였다. 69년에는 공 병우 타자기 연구소장에 취임하여 맹인 점자 타자기·한영겸용타자기를 개발하였고, 70년대에는 한글 네벌식 글자판 반대투쟁에 앞장서 박 정권에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81년 이후는 미국으로 건너가 줄곧 민주화운동과 한글 기계화 운동을 펴 미..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445년 3월 8일 세종 27년, 용비어천가 완성.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인 용비어천가는 조선 창업을 칭송한 것으로 시가와 고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95년 3월 7일 한글 운동가이자 한글 기계화의 선구자 공병우 박사 세상 떠남(1906~1995). 안과 의사, 한글 기계화 운동가, 사진작가로 활동. 평안북도 벽동 출생. 1926년 조선의사 검정시험에 합격, 1936년 일본 나고야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38년에는 공안과 병원장에 취임하였다. 이후 한글타자기 개발에 전념하였으며, 공병우 식 국문 타자기를 발명하였다. 1969년에는 공병우 타자기 연구소장에 취임하여 맹인 점자 타자기·한영겸용타자기를 개발하였고, 1970년대에는 한글 네벌식 글자판 반대투쟁에 앞장서 박 정권에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70년 3월 2일 한자 없는 교과서로 순 한글 교육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