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68년 5월 2일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지침(안) 발표 국무회의 의결. 상용 한자는 1968년도에는 2,000자, 1969년도에는 1,300자로 줄여, 1972년까지 한자를 단계적으로 완전히 없애고, 1973년부터 전면적인 한글 전용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세부 지침도 발표. (1) 공문서는 특수한 것은 68년까지 한자 병용을 허용, 69년부터 한글을 전용하고 (2) 법령문은 72년도까지 뜻의 전달이 곤란한 것만 괄호 안에 한자를 덧붙이며 (3) 호적·등기·주민 등록은 70년도부터 한글을 전용하며 (4) 각급 교과서,..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32년 5월 1일 조선어 학회 월간 학술 학회지 첫 호를 펴냄.● 1942년 5월 1일 일제, 조선어 학회가 편 93호로 폐간.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53년 4월 27일 국무총리훈령 제 8호. 현행 철자법 폐지와 구식 기음법(記音法) 사용.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527년 4월 20일 중종 22년, 최 세진 편찬. 한글 자모의 이름을 처음 정하고 순서와 받침을 정리. 글자 수는 27자. (훈민정음 28자 가운데 `ㆆ`이 빠진 체계이고 닿소리와 홀소리의 이름과 순서가 오늘날과 같다.)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896년 4월 7일 고종 33년, 최초 민간 신문인 창간. 서재필이 창간한 은, 등록은 서재필의 사유로 하였으나 실제는 조선 정부의 지원이 있었다고 한다.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한 한글 전용판과 영문판으로 창간되었다. 독립협회발족 뒤에는 그 기관지 구실을 하였다. 1957년에는 창간일이 `신문의 날`로 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