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티스토리 안, 한말글 현대사(http://hanmalgeulhyeondaesa.tistory.com)에서 그동안 기능을 알지 못했던,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글을 담아가는 기능을 찾아서 누구나 손쉽게 글을 담을 수 있게 고쳤습니다. 비영리가 아닌 영리 목적으로 쓸 때는 미리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에 허락을 받는 것만 조심하시면 됩니다.(2014/10/28 - [한말글 현대사 소개] - 지음권 알림)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적바림이 누리편지: joeunmei@hanmail.net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38년 4월 1일 일제의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령’(1998년 3월 3일)에 따라 조선말을 모든 학교 교과목에서 완전히 없앰. {한글 학회} 자료: 한글학회 100년사 {국가기록원} 자료: 한글이 걸어온 길/더보기/연표/1940년 이전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70년 3월 23일 한글학자 최현배 세상 떠남. 경남 울산에서 태어남. 경성 고등 보통 학교(현 경기고)와 주시경이 세운 조선어 강습원에서 배웠고, 1926년 연희전문교수가 되어 철학 논리학 국어학 가르침.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조선사람이다. 세계는 넓건마는 조선만이 내 땅이다. 삼천리 강산 위에 곳곳마다 피땀 흔적 이 강산이 역사를 잇고 잇고 다시 이어 이천만이 엉키엉키 살아보세." 1924년, 에 연재했던 `조선민족 갱생의 도`에 이렇게 썼다. `식민지`의 현실에서 외솔 선생님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만들고 1936년 표준어를 정하..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420년 3월 16일 세종 2년, 세종 큰 임금, 왕실연구기관 집현전 설치. 집현전에서는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 등 출간.● 1967년 3월 16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국어운동 횃불 점화식"이라는 이름으로 학생 17명과 허웅 교수, 신익성 교수, 한글학자 한갑수, 한글운동가 문제안이 참석한 가운데, '국어운동학생회'를 창립하는 발기인대회를 열었다. 학생들이 조직적으로 국어운동과 한글운동을 펴기 위해 단체를 만든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전국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 자료: 추억거리/..몇 가지 기록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68년 3월 14일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안 발표. 문교부: 현재 상용 한자 1,300자를 오는 1969년까지 700자로 줄이고, 그 후 초·중·고·대학 순을 한자를 줄여, 1972년까지 학교 교과서에서 한자를 모두 없앤다. 공보부: 신문 및 각종 간행물의 한자를 1968년까지 2,000자, 1969년까지 1,300자, 1970년까지 700자로 각각 줄이고, 1972년에는 한글을 전용토록 할 방침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계법을 제정한다. 총무부: 각종 공문서?인사 기록 카드에 한자를 점차적으로 줄인다. 법원 행정처: 호적, 등기 사항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