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 (74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정보시대 한글 문제김슬옹 한국인의 훈민정음과 삼성전자의 훈민정음/김슬옹3정보시대 한글의 굴레를 벗자/김슬옹15한글은 음소문자인가 음절문자인가/김슬옹17전자출판에 대한 잘못된 통념/김슬옹19통신 언어 담론/김슬옹 20글틀 프로그램의 한글 지원/김중태22’96 우리글 컴퓨터 처리 국제 학술 대회의 합의 과정과 배경, 그리고 의의/김슬옹 28조선왕조의 훈민정음과 정음의 기능/이우성53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강만길56세종과 최 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김슬옹61세종 탄신 600돌의 진정한 의미 설정을 위하여/김슬옹63말글살이의 위대한 변혁 해설서 「훈민정음」/김슬옹65Writing Right/다이아몬드70올바른 표기법 /다이아몬드 글 번역:이광호78정보화 시대에서의 한글 ..
제주방언에서의 동사어미 -an/-ən 교체현상김원보 1. 서론2. 계층적 자질표시와 제주방언의 모음체계3. 제주방언에서 동사어미의 모음조화 현상4. 결론 참고문헌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연구 대상 및 논의의 구성2 1.3 연구에 이용된 자료3 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 과정 5 2.1 기존의 논의5 2.2 ‘-엄시-’,‘-어시-’,‘-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8 2.2.1 ‘-엄시-’, ‘-어시-’의 분포8 2.2.1.1 어간과의 통합 관계9 2.2.1.2 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1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2 연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6 2.2.1.2.3 선어말어미와의 통합 관계18 2.2.1.3 이형태 목록과 교체 조건21 2.2.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지위 25 2.2.2.1 선어말 어미의 ‘-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