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31 *너무 배부르게 먹는 것, 배탈, 갈아들다, 산것, 살아가다, 자라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3해(1950년) 만든 ‘과학공부 4-2’의 44, 45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먼저 44쪽 첫 줄에 ‘너무 배부르게 먹는 것이 몸에 좋지 못한 까닭을 알아보자’가 나옵니다. ‘너무 배부르게 먹는 것’은 흔히 ‘과식’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몸에 좋지 못한’은 요즘에는 ‘몸에 해로운’이라는 말을 많이 쓰고 ‘까닭’도 ‘원인’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요. 셋째 줄에 ‘배탈’이 나오는데 우리가 많이 보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배탈’에 있는 ‘탈’을 ‘頉’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말이나 일본말에서는 ‘頉’를 그런 ..
[토박이말 맛보기]시름시름 /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시름시름[뜻]2)눈이나 비 따위가 조용히 자꾸 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보기월]그런데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한마음으로 눈이든 비든 시름시름 왔으면 하고 바라는 곳도 있네요. 추위가 여러 날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밝날 서울 가는 길에도 눈이 펑펑 내리는 곳을 지나갔고 내려 올 때도 함박눈이 내리는 곳을 지나왔습니다. 그곳뿐만 아니라 하늬바다(서해) 가까운 곳에는 어제에 이어 오늘도 눈이 내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새바다(동해) 쪽에 있는 몇 곳에서는 겨울 가뭄 때문에 아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물도 마음껏 쓰지 못해 아껴 쓴다고 하고 수레에 물을 실어 날라다 주어야 할 만큼이랍니다. 한쪽에는 여러 날 눈이 와서 일을 할 ..
[토박이말 맛보기]엔담 /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엔담[뜻]가장자리를 빙 둘러서 싼 담[보기월]어찌나 바람이 차가운지 엔담이 있으면 좋겠다 생각하며 걸었습니다. 지난 엿날(토요일)은 갈모임(학회)가 있어서 서울에 다녀왔습니다. 몇 날 좀 포근해서 좋았는데 제게 매운 맛을 보여 주려고 그랬는지 날씨가 아주 맵찼습니다. 땅밑길에서 나오자마자 얼굴에 닿는 차가운 바람이 제가 사는 곳과 달랐습니다. 어찌나 바람이 차가운지 엔담이 있으면 좋겠다 생각하며 걸었습니다. 주머니에 넣은 손도 시리고 바람에 눈물까지 흘러서 갈모임을 하는 곳까지 가는 길이 더 멀게 느껴졌습니다. 그렇게 찬바람을 맞으며 갔는데도 안에 들어서니 땀이 나더군요. 오랜만에 만난 분들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좋은 말씀들을 들었습..
[토박이말 되새김]한밝달 닷이레(1월 5주) 4350해 토박이말 놀배움을 함께했던 배움이들과 그 발자취를 남기기로 했습니다. 질것(도자기판, 타일)에 좋아하는 토박이말과 꿈을 적고 그림과 이름을 넣어 꾸민 다음 그것을 한 곳에 모아 붙이는 것입니다. 이름하여 '토박이말 놀배움 보람자리'입니다. 두고두고 잊히지 않는 멋진 자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요즘 또 한 가지 하는 놀배움은 노랫말 바꿔 부르기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좀 신나게 부를 수 있는 노래를 고른다고 골랐는데 아이들 소리 높이와 맞지 않는 느낌이 있습니다. 그래도 바꾼 노랫말을 외워 불러 주는 아이들이 대견하고 고마웠습니다. 언제 이 노래를 많은 분들께 들려 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어느새 돌아온 토박이말 되새김 날입니다. 토박이말을 맛보시고..
[토박이말 맛보기]시름겹다 /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시름겹다[뜻]못 견딜 만큼 시름이 많다[보기월]따뜻한 날씨가 시름겨운 분들의 시름을 덜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추운 날이 이어지고 있는데 나라 안팎으로 마음 따뜻한 이야기는 듣기 어렵습니다. 어제부터 날씨가 조금 풀린 것이 그나마 기분 좋은 이야기라고 할까요? 미리벌(밀양)에서 불 때문에 많은 분들이 목숨을 잃은 슬픈일도 있었고 곳곳에서 어두운 기별이 많이 들립니다. 그만큼 시름겨운 분들이 많다는 것이겠지요. 따뜻한 날씨는 아쉽게도 사흘 남짓 이어질 거라고 합니다. 따뜻한 날씨가 시름겨운 분들의 시름을 덜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게다가 어제는 옹근달가림(개기월식) 이야기로 온 누리가 다 떠들썩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