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V1+기+토씨 V1] 구문의 문법적 처리나찬연 1. 들어가기2. [V1+기+토씨 V1] 구문의 문법적 2.1. 형태적 특징 2.2. 통어적 특징3. [V1+기+토씨 V1] 구문의 이음월적인 성격 3.1. 이음씨끝으로 처리되는 [-기+토씨] 구성 3.2. ‘기마디’의 이음마디적 성격4. 맺음말
15세기 국어 자음연쇄에 대한 연구김현 1. 서론1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범위1 1.2 연구사 검토2 1.3 논의의 구성4 1.4 연구 자료42. 표기와 음운과의 관계6 2.1 표기법과 언어 단위6 2.2 자음자연쇄의 범위7 2.3 자음자와 자음103. 2자음연쇄의 음운론적 해석19 3.1 형태소 내부에서의 자음연쇄19 3.1.1 폐쇄음 선행 연쇄21 3.1.2 마찰음 선행 연쇄25 3.1.3 비음 선행 연쇄28 3.1.4 유음 선행 연쇄29 3.1.5 종합적 검토33 3.2 형태소 경계에서의 자음연쇄38 3.2.1 자동적 교체41 3.2.1.1 음절말 중화41 3.2.1.2 경음화53 3.2.1.3 비음화60 3.2.1.4 유기음화65 3.2.2 비자동적 교체68 3.2.2.1 유음탈락69 3.2..
'농가월령가'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1. 이본의 서지 사항2. 표기 및 음운3. 문법4. 어휘 5.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방법 5.1. 농가월령가의 결속 구조 및 결속성 5.2. 텍스트의 의도성과 위무적 청유 화법 5.3. 텍스트의 용인성과 다양한 상대높임법 5.4. 텍스트의 상황성과 위기 의식 5.5. 텍스트의 정보성과 농업 및 풍속 관련 어휘 5.6.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과 중국 고전 지식 6. 맺음말
뇌에서의 언어 의미의 해석과 생성 과정에 관한 가설이찬규 1. 서2. 뇌의 구조와 언어와의 관계3. 기억과 언어 의미4. 뇌의 언어활동에 관한 가설을 통해 본 촘스키의 문법 이론5. 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