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 '-리-', '-ㄹ 것이-', '-겠-'을 중심으로 -이병기 1. 서론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1 2. 미래 시제 범주의 설정 가능성5 2.1. 기존의 논의 5 2.2. '미래'의 특수성9 3. 미래 시제 형태의 쓰임16 3.1. 현대 국어에서의 '-겠-'16 3.1.1. 의미 기능16 3.1.1.1. 의도18 3.1.1.2. 추정20 3.1.1.3. 그 밖의 쓰임22 3.1.1.4. '-것-' 기원의 '-겠-'25 3.1.2. '-ㄹ 것이-'와의 비교27 3.1.2.1. '현장성'의 차이27 3.1.2.2. 쓰임에서의 차이30 3.2. 중세 국어에서의 '-리-'31 3.2.1. 의미기능 32 3.2.1.1. 의도32 3.2.1.2. 추..
발화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유필재 Ⅰ. 머 리 말 1 1.1. 문제 제기 1 1.2. 연구사적 검토 4 Ⅱ. 음운론적 단어 7 2.1. 중세국어 의존명사의 음운론과 통사론 7 2.1.1. 의존명사의 음운론 8 2.1.2. 의존명사의 통사론 16 2.2. 음운론적 단어와 통사론적 단어 18 2.3. 음운론적 단어의 설정 21 2.3.1. 의존명사 22 2.3.2. 보조용언 24 2.3.3. 부정부사 - '못', '안' 25 2.4. 음운론적 단어의 음운현상 26 2.4.1. 초점 26 2.4.2. 연음 27 2.4.3. 억양 28 2.4.3.1. 억양 연구 방법론 29 2.4.3.2. 억양 실현의 양상 31 2.4.3.3. 억양군과 음운론적 단어 34 Ⅲ. 발 화 36 3...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446년 10월 9일 세종 28년, 훈민정음 반포.● 1945년 10월 9일 한글날 첫 기념식.● 1947년 10월 9일 조선어 학회. 제 1권 발행.● 1948년 10월 9일 법률 제 6호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1949년 10월 9일 한글 간소화 파동. (이승만 대통령 담화문)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맞춤법 시행 방침과 관련하여 정부측과 학계·문화언론계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 1949년 10월 9일 이승만 대통령이 당시 현행 한글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