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이병기) 본문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
- '-리-', '-ㄹ 것이-', '-겠-'을 중심으로 -
이병기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2. 미래 시제 범주의 설정 가능성 5
2.1. 기존의 논의 5
2.2. '미래'의 특수성 9
3. 미래 시제 형태의 쓰임 16
3.1. 현대 국어에서의 '-겠-' 16
3.1.1. 의미 기능 16
3.1.1.1. 의도 18
3.1.1.2. 추정 20
3.1.1.3. 그 밖의 쓰임 22
3.1.1.4. '-것-' 기원의 '-겠-' 25
3.1.2. '-ㄹ 것이-'와의 비교 27
3.1.2.1. '현장성'의 차이 27
3.1.2.2. 쓰임에서의 차이 30
3.2. 중세 국어에서의 '-리-' 31
3.2.1. 의미기능 32
3.2.1.1. 의도 32
3.2.1.2. 추정 33
3.2.1.3. 그 밖의 쓰임 34
3.3. 근대 국어의 미래 표현 36
3.3.1. '-리-'의 쓰임 37
3.3.2. '-ㄹ 것이-'의 쓰임 39
3.3.3. '-겟-'의 쓰임 40
4. 미래 시제 형태의 기원과 발달 과정 42
4.1. '-리-'의 발달 과정 42
4.1.1. 고대국어 42
4.1.2. 전기 중세 국어 47
4.1.3. 후기 중세 국어 56
4.2. '-ㄹ 것이-'의 발달 과정 59
4.2.1. 형식명사 '것' 59
4.2.2. '-ㄹ 것이-'의 발달 62
4.3. '-겠-'의 기원 64
4.3.1. 기존의 견해 64
4.3.1.1. '-게+잇-' 65
4.3.1.2. '-게+외얏-' 66
4.3.1.3. '-게+엿-' 67
4.3.2. '-겠-'의 문법화 75
4.3.2.1. 형태론적 측면 75
4.3.2.2. 의미론적 측면 77
4.3.2.3. '-겠-' 문법화의 배경 79
5. 결론 83
참 고 문 헌 85
요약 90
'곳간 > 한말글 곳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자 이름 '한글'에 대하여(강창석) (0) | 2015.10.10 |
---|---|
'동사 어간 -다' 부정법의 역사적 고찰(곽용주) (0) | 2015.10.10 |
모음조화의 예외에 대한 연구(김완진) (0) | 2015.10.10 |
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이익섭) (0) | 2015.10.10 |
발화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유필재) (0) | 2015.10.09 |
어원수제(이기문) (0) | 2015.10.09 |
언해의 사적 고찰(안병희) (0) | 2015.10.09 |
옥편류의 한자음 비교 연구(라이너 돌멜스) (0) | 201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