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이병기) 본문

곳간/한말글 곳간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이병기)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5. 10. 9. 09:30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

- '-리-', '-ㄹ 것이-', '-겠-'을 중심으로 -

이병기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2. 미래 시제 범주의 설정 가능성 5

  2.1. 기존의 논의 5

  2.2. '미래'의 특수성 9


3. 미래 시제 형태의 쓰임 16

  3.1. 현대 국어에서의 '-겠-' 16

    3.1.1. 의미 기능 16

      3.1.1.1. 의도 18

      3.1.1.2. 추정 20

      3.1.1.3. 그 밖의 쓰임 22

      3.1.1.4. '-것-' 기원의 '-겠-' 25

    3.1.2. '-ㄹ 것이-'와의 비교 27

      3.1.2.1. '현장성'의 차이 27

      3.1.2.2. 쓰임에서의 차이 30

  3.2. 중세 국어에서의 '-리-' 31

    3.2.1. 의미기능 32

      3.2.1.1. 의도 32

      3.2.1.2. 추정 33

      3.2.1.3. 그 밖의 쓰임 34

  3.3. 근대 국어의 미래 표현 36

    3.3.1. '-리-'의 쓰임 37

    3.3.2. '-ㄹ 것이-'의 쓰임 39

    3.3.3. '-겟-'의 쓰임 40


4. 미래 시제 형태의 기원과 발달 과정 42

  4.1. '-리-'의 발달 과정 42

    4.1.1. 고대국어 42

    4.1.2. 전기 중세 국어 47

    4.1.3. 후기 중세 국어 56

  4.2. '-ㄹ 것이-'의 발달 과정 59

    4.2.1. 형식명사 '것' 59

    4.2.2. '-ㄹ 것이-'의 발달 62

  4.3. '-겠-'의 기원 64

    4.3.1. 기존의 견해 64

      4.3.1.1. '-게+잇-' 65

      4.3.1.2. '-게+외얏-' 66

      4.3.1.3. '-게+엿-' 67

    4.3.2. '-겠-'의 문법화 75

      4.3.2.1. 형태론적 측면 75

      4.3.2.2. 의미론적 측면 77

      4.3.2.3. '-겠-' 문법화의 배경 79


5. 결론 83


참 고 문 헌 85

요약 90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hwp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