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제주방언에서의 동사어미 -an/-ən 교체현상김원보 1. 서론2. 계층적 자질표시와 제주방언의 모음체계3. 제주방언에서 동사어미의 모음조화 현상4. 결론 참고문헌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연구 대상 및 논의의 구성2 1.3 연구에 이용된 자료3 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 과정 5 2.1 기존의 논의5 2.2 ‘-엄시-’,‘-어시-’,‘-어 나시-’의 문법적 특징8 2.2.1 ‘-엄시-’, ‘-어시-’의 분포8 2.2.1.1 어간과의 통합 관계9 2.2.1.2 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1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0 2.2.1.2.2 연결어미와의 통합 관계16 2.2.1.2.3 선어말어미와의 통합 관계18 2.2.1.3 이형태 목록과 교체 조건21 2.2.2 ‘-엄시-’, ‘-어시-’, ‘-어 나시-’의 문법적 지위 25 2.2.2.1 선어말 어미의 ‘-엄시-..
제주도 방언의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84호)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모음의 분포와 변화 --------------------------------------------- 7 2.1 단모음의 변화 ------------------------------------------------- 7 2.1.1 ''의 변화 ----------------------------------------------- 7 2.1.1.1 어두음절 ---------------------------------------------- 9 2.1.1.2 비어두음절 --------------------------------..
제주의 유학 관련 자료김지홍 제 1 장. 개 관 제 2 장. 삼읍 향교의 교학과 재정 자료 1. 1781년 박천형 어사의 신축년 절목 2. 1804년 교위전 수세 정식 절목 3. 1831년 이예연 목사의 신묘년 절목 4. 1831년 이예연 목사의 초접 완의 절목 5. 1841년 이원조 목사의 삭강 절목 6. 1851년 이현공 목사의 향교 거접 신설 절목 7. 1871년 조희순 목사의 삼학 개정 절목 8. 1872년 조희순 목사의 양재 개정 절목 9. 1883년 박선양 목사의 향교 섬학 절목 10. 1890년 송구호 목사의 절목 11. 1892년 이규원 찰리사의 교전 획급 절목 12. 1839년 구재룡 목사의 대정 향교 절목 제 3 장. 삼읍 향교의 신창․중건․이건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