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모음조화의 예외에 대한 연구김완진 Ⅰ. 서론Ⅱ. 이차적 차원의 예외들Ⅲ. 수의적 변화로서의 모음조화Ⅳ. 결론
미래 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 '-리-', '-ㄹ 것이-', '-겠-'을 중심으로 -이병기 1. 서론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1 2. 미래 시제 범주의 설정 가능성5 2.1. 기존의 논의 5 2.2. '미래'의 특수성9 3. 미래 시제 형태의 쓰임16 3.1. 현대 국어에서의 '-겠-'16 3.1.1. 의미 기능16 3.1.1.1. 의도18 3.1.1.2. 추정20 3.1.1.3. 그 밖의 쓰임22 3.1.1.4. '-것-' 기원의 '-겠-'25 3.1.2. '-ㄹ 것이-'와의 비교27 3.1.2.1. '현장성'의 차이27 3.1.2.2. 쓰임에서의 차이30 3.2. 중세 국어에서의 '-리-'31 3.2.1. 의미기능 32 3.2.1.1. 의도32 3.2.1.2. 추..
발화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유필재 Ⅰ. 머 리 말 1 1.1. 문제 제기 1 1.2. 연구사적 검토 4 Ⅱ. 음운론적 단어 7 2.1. 중세국어 의존명사의 음운론과 통사론 7 2.1.1. 의존명사의 음운론 8 2.1.2. 의존명사의 통사론 16 2.2. 음운론적 단어와 통사론적 단어 18 2.3. 음운론적 단어의 설정 21 2.3.1. 의존명사 22 2.3.2. 보조용언 24 2.3.3. 부정부사 - '못', '안' 25 2.4. 음운론적 단어의 음운현상 26 2.4.1. 초점 26 2.4.2. 연음 27 2.4.3. 억양 28 2.4.3.1. 억양 연구 방법론 29 2.4.3.2. 억양 실현의 양상 31 2.4.3.3. 억양군과 음운론적 단어 34 Ⅲ. 발 화 3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