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문법과 탐구학습김광해 1. 머리말2. 제 5 차 교육과정상 의 언어영역의 교수목표3. 언어에 대한 이해와 언어에 관한 지식4. 교수의 내용5. 언어 영역의 평가6. 교수 목표 및 평가의 개선 방향7. 평가 결과의 반영 및 기록 방법8. 맺음말 참고서적
▼-------------------------------------------------------- 민현식 님이 2015년 8월 18일 요청으로 뭉치(파일)는 "비공개"합니다. ▲-------------------------------------------------------- 문자, 발음, 표기민현식 1. 문자론2. 한글3. 자소와 음소의 상관성4. 표음주의와 표의주의의 대립과 중립5. 표기법의 변천사6. 현대 정서법의 실제7. 정리
문장부호론 1. 전통적 문장부호 1.1. 구두법과 구두점 1.2. 구두점 찍기 2. 현대의 문장부호 2.1. 제1기: 한글학회 '한글 맞춤법 통일안' 시기(1933 - 1964) 2.2. 제2기: 정부 제정 '교정편람' 시기(1964 - 1988) 2.3. 제3기: 정부 제정 '한글맞춤법' 시기(1988 - 현재) 3. 북한의 문장부호 3.1. 제1기 : 통일안 및 '조선어 신철자법' 시대(1945-1954) 3.2. 제2기 : '조선어 철자법' 시대(1954-1966) 3.3. 제3기 : '조선말 규범집' 시대(1966-1987) 3.4. 제4기 : 개정 '조선말 규범집' 시대(1987-현재) 4. 중국 한인 동포 지역의 문장부호5. 한국-북한-중국 한인 지역 문장부호 규정 비교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