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말글곳간 (661)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현대국어 활용에 나타나는 매개모음 연구김태성 1. 연구의 목적과 방법2. 매개모음의 출현 환경 2.1. 필수적 출현 환경 2.2. 수의적 출현 환경3. 매개모음의 발달 원인 3.1. 활용형의 형태 분석과 문제점 3.2. 공시적 음운 현상과 통시적 변화4. 활용 어미군의 의미 기능 4.1. 통합형 어미의 재분석과 동명사 어미 4.2. 주체존대 선어말어미와 상대존대 선어말어미5. 매개모음의 음운론적 기술 5.1. 어휘규칙과 후어휘규칙 5.2. ‘으’첨가규칙과 층위 설정 5.3. 규칙의 적용과 의의6. 결론 참고문헌요약 지음권 알림.
현대국어의 주제어에 대한 연구신호철 1. 서론2. 문과 담화3. 주제와 화제4. 문의 주제5. 결론 참고문헌요약
현대사회와 화법 1. 상호 의사소통의 핵심은 그 과정에 있다. 2. 상호 의사소통은 자아로부터 시작된다. 3.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함께 하고자 하는 동기를 분명히 인식할 때 이루어진다. 4.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의 불확실함을 줄여야 한다. 5. 상대방이 말할 때 경청하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올바르게 해석, 이해해야 한다. 6.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매우 큰 역할을 한다. 7. 의사소통은 서로가 매력을 느끼고 있을 때 잘 이루어진다. 8. 상대방에게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나 자신을 드러낼 필요가 있는데 여기에는 큰 용기가 필요하다. 9. 우리는 대인관계에서 여러가지 책임을 지니고있고, 상대방을 용서할 줄 알아야한다.10. 의사소통은 내용과 관계가 합쳐서 이루어진다.
현대시의 모순어법 연구김창근 Ⅰ. 시와 언어Ⅱ. 시어의 역설적 모순성Ⅲ. 모순어법의 구조적 유형 1. 초월적 전제로서의 통합성 가. 「논개」의 경우 나. 「깃발」의 경우 2. 부연적 확인으로서의 동일성 가. 「진달래꽃」의 경우 나. 「유리창 1」의 경우 3. 박복적 순환으로서의 연속성 가.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경우 나. 「절정」의 경우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