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76-통조림, 걸어앉다, 장사놀이, 벌이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1해(1948년) 만든 ‘셈본 3-1’의 30쪽, 31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30쪽에 ‘통조림’ 그림이 나옵니다. 지난 글에 보여드렸던 29쪽 아래에 ‘통조림’이라는 말이 나왔지만 글이 길어질까 봐 일부러 쓰지 않았었습니다. ‘통조림’은 잘 아시다시피 ‘통+조림’의 짜임으로 된 말입니다. ‘통’은 ‘한자말’이라는 것은 아실 것이고 ‘조림’은 ‘조리다’의 이름씨꼴(명사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모이 사전에는 ‘조리다’와 ‘졸이다’를 다르게 풀이를 해 놓고 가려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리다’의 말밑(어원)이 ‘졸+이+다’로 풀이를 하..
[토박이말 맛보기]임/(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임[뜻]머리 위에 인 몬(물건). 또는 머리에 일 만한 만큼의 짐[보기월]그걸 보고 머리에 이는 것은 임이라 하고 등에 지는 것은 짐이라고 하니 참 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벌써 일거리를 받아 놓고 여러 가지 일을 하느라 미루어 놓았던 일을 마감하는 날보다 일찍 해서 보낸다고 생각하고 보냈더니 되돌아 왔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해 달라는 대로 안 했던 거였습니다. 많은 일들을 날짜대로 간추려 놓았으니 풀어서 쓰는 것은 어렵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만만치 않았습니다. 어떤 일은 제 머릿속에 있는 것과 같았는데 어떤 일은 제가 생각했던 것과 다른 것도 있었습니다. 누리그물(인터넷)에 적바림해 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했고 앞서 함께 일했던 분..
[토박이말 맛보기]일쩝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일쩝다[뜻](무엇이) 일거리가 되어 성가시고 귀찮다[보기월]제가 이 일을 일쩝게 생각했다면 벌써 그만 두었을 것입니다. 지난 닷날(금요일) 일이 있어서 다른 사람들보다 좀 늦게 배곳(학교)을 나섰습니다. 다가오는 세 돌 토박이말날 잔치 앞생각(계획)에 따라 하나씩 갖출 것들을 챙겼습니다. 다놀더놀 이영선 회장님께서 챙기고 계신 일이 좋은 열매를 거둔다면 그야말로 멋진 잔치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들말마을배곳(학교) 일을 챙겼습니다. 챙겨야 할 게 많았지만 그 가운데 예쁜 토박이말 이름을 가진 가게에 달아줄 보람(패)을 만들어야 하는데 도움을 주실 수 있다는 분이 계서서 만나러 갔습니다. 그분은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람으..
[토박이말 되새김]온봄달(3월) 세 이레 어제는 아침 일찍 나올 일이 있었습니다. 학교 폭력 멈춰 널알리기(캠페인)를 이웃 배곳(학교)와 함께하는 날이었기 때문입니다. 밤새 비가 그쳐서 참 좋았습니다. 그리고 날씨도 포근해져 우리 일을 돕는구나 싶었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녹색어머니, 선생님들이 함께 널알리기(캠페인)를 했는데 자리느낌(분위기)이 여느 해와 달랐습니다. 경찰서, 교육지원청에서도 오셔서 더욱 그랬지 싶습니다. 말도 하고 노래에 맞춰 춤까지 추면서 한마디로 잔치 느낌이 났습니다. 이렇게 하면서 아이들이 서로 다투지 않고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좋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껴 알게 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뒤낮(오후)에는 갈배움길 길잡이(교육과정 설명회)가 있는 날이었습니다. 아이들 배움을 ..
[토박이말 맛보기]일집/(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일집[뜻]말썽이 나게 되는 바탕이나 까닭(원인)[보기월]이게 또 일집이 되는 게 아닌가 싶어서 아이들을 불러들이자고 했습니다. 좀 일찍 잠자리에 들었는데 엊그제 잠이 들기 앞에 생각했던 게 무엇이었는지 생각을 하느라 잠이 들지 않았습니다. 아무리 되짚어 생각을 해도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토박이말을 널리 알릴 좋은 수인 것은 틀림이 없는데 그게 무엇인지는 끝내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생각을 했을 때 일어나 적어 놓을까 싶었는데 이렇게 좋은 생각이니 바로 떠오를 것이라 믿었던 게 잘못이었습니다. 아쉬운 마음에 앞으로는 머리맡에 적발감(메모도구)을 두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비가 올 거라는 미리알림(예보)가 있었는데 어제 아침부터 하늘은 낮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