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 (74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손세모돌 1. 들머리2. 현대어 "지다"의 의미 3.1 일반 용언 "지다"의 의미 3.2 보조용언 "지다"의 의미3. 중세의 "디다,""지다1,""지다2"의 의미 3.1 "디다"의 의미 3.2 "지다1"의 의미 3.3 "지다2"의 의미4. 마무리
'뜻도 모르는' 어휘의 사용 가능 원리에 관한 연구박현정, 박효진, 전수정 Ⅰ. 머리말Ⅱ. 동반어의 특성 1. 같다 2. 없다 3. 하다Ⅲ. 단어형성원리 1. 핵의 개념 2. 형성원리와 연산과정Ⅳ. 의미변화의 원리와 요인 1. 의미변화의 원리 (1) 비유적 표현의 화석화 (2) 다의적 표현의 화석화 (3) 전이된 후치용언의 화석화 2. 의미변화의 요인 (1) 언어적 요인 (2) 역사적 요인 (3) 의미 전이에 의한 연상 요인Ⅴ. 사용맥락과 어휘 의미와의 관계 - 설문 내용을 중심으로Ⅵ. 맺음말Ⅶ. 참고서적 별첨 : 설문지
▼-------------------------------------------------------- 민현식 님이 2015년 8월 18일 요청으로 뭉치(파일)는 "비공개"합니다. ▲-------------------------------------------------------- 로마자 표기론민현식 1. 머리말2. 전자법과 전사법3.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사 3.1. 개화기 3.2. 일제 시기 3.3. 대한민국 정부 시기4. 쟁점 사항5. 로마자 표기법의 혼란 실태 5.1. 외적 혼란 양상 5.2. 내적 혼란 양상6. 현행 전사법의 문제점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안(1997년안/1999년안)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