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 (74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구비시가 사설에서의 말놀이와 골계 생성 방식-민요와 잡가를 중심으로-한채영 1. 머리말2. 음의 유사성과 말놀이 2.1 음성적 등가성의 연쇄 ― 연음법 2.1.1 유음중첩법 2.1.2 두음중첩법 2.2 동음이의어의 이중약호 ― 겸용법 2.3 유사음으로의 왜곡 ― 와음법3. 연쇄․추론상의 기대 불일치와 골계 3.1 행위 연쇄상의 기대 불일치 3.2 의미 추론상의 기대 불일치 3.3 형태적 유사성의 추론과 그로테스크 이미지4. 어휘적 의미 특질과 골계 4.1 특수어의 집요한 나열 4.2 비속어의 구사5. 맺음말
국어 교육 평가의 이상과 현실김광해 1.학습 지도와 평가2.학교 평가와 입시 평가3.이상, 국어과 평가의 내용과 방법4.현실, 그리고 제안들5.학문적 체계화의 문제6.평가 전담 기구의 전문화 문제
국어 국문학 제125집박형익, 오종갑, 유승섭, 장태진, 최규일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1. 서론 1.1. 연구 목표와 방법 1.2. 성별언어 연구사2. 국어 성별 대상어의 특성 2.1. ‘남성답다’와 ‘여성답다’의 반응어 2.2. 성별 대상어의 유형 [1] 전용성 여부에 따른 성별 대상어의 유형 [2] 대립어 유형에 따른 성별 대상어의 유형 [3] 내용 분류에 따른 성별 대상어의 유형3. 국어 성별 발화어의 특성 3.1. 종결어미의 서법과 억양 3.2. 방언과 표준어의 성별 친화성 3.3. 어휘적 특성 3.4. 화용적 특성4. 성차별 표현의 양상 4.1.여성 차별 표현 4.2. 남성 차별 표현 4.3. 동일 형식의 성차별 표현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