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한글과 한글 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 기술과 용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강창석 1. 머리말2. 문자 표기 연구의 동향과 기술 실태3. 한글 표기법과 일반 문자 표기 이론4. 한글 표기법의 특성과 용어5. 맺음말 참고 문헌
한일 양어 신체 관련 숙어의 비교연구—신체어의 내포적 의미를 중심으로—고바야시 마사아키 -------------------------------------------------- ⅰ 1. 서론 ------------------------------------------------------- 11.1. 연구의 목적 --------------------------------------------- 11.2. 연구사 개관 --------------------------------------------- 51.3. 연구 방법 ----------------------------------------------- 51.4. 논의의 구성 -------------------------------------------..
현대국어 구적 접미사에 대한 연구최형강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기존의 연구 검토2 1.2.1. ‘-답-’에 대한 연구2 1.2.2. ‘-하-’에 대한 연구4 1.2.3. ‘-싶-’에 대한 연구5 1.2.4. ‘-같-’에 대한 연구5 1.3. 논의의 구성6 2. 파생과 문법화의 정도 문제8 2.1. 파생 접사의 선정 기준8 2.2. 파생 접사의 유형9 2.3. 파생의 유형13 2.4. 파생 접사의 문법화 정도15 3. 구적 접미사의 성격23 3.1. 구적 접미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23 3.2. 구적 접미사와 어휘적 접사27 3.3. 구적 접미사의 형성 원리30 4. 구적 접미사 구성에 대한 검증36 4.1. ‘-답-’ 구성36 4.1.1. 의존 형용사 ‘답-’과 구적 접미사 ‘-답-’3..
현대 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박재연 1. 서론1 1.1. 연구 목적 1 1.2. 논의의 구성2 2. 이전 논의에 대한 검토3 2.1. 반말의 속성과 관련한 연구3 2.2. 개별 어미의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7 3. 반말의 개념과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11 3.1. 반말의 개념11 3.1.1. 반말의 정의11 3.1.2. 반말의 특성22 3.1.2.1. 어체와 관련한 특성23 3.1.2.2. 청자대우법과 관련한 특성25 3.1.2.3. 문장 유형과 관련한 특성27 3.1.2.4. 양태와 관련한 특성 28 3.2.2.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에 따른 몇 가지 문제30 4. 반말체 종결어미의 종류와 통사적 특성41 4.1. 연결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44 4.2. 인용구성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