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곳간/한말글 곳간 (743)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화법 지도의 이론과 실제이주행 1. 화법의 본질2. 화법의 원리3. 각급 학교 ‘말하기’와 고교 ‘화법’ 과목의 내용 체계4. 각급 학교 ‘국어’ 과목의 듣기와 고교 ‘화법’ 과목의 듣기 내용 체계 비교5. 지도 방법6. 평가 참고 문헌
화순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정인호 1. 서 론1 1.1 연구목적1 1.2 연구대상2 1.3 연구방법4 1.4 논의의 전개62. 음운체계8 2.1 음소체계8 2.1.1 자음8 2.1.1.1 목록8 2.1.1.2 변이음10 2.1.1.3 체계13 2.1.2 모음16 2.1.2.1 목록16 2.1.2.2 변이음16 2.1.2.3 체계18 2.2 운소체계22 2.2.1 음장22 2.2.2 억양233. 형태소 내부에서의 음소배열24 3.1 음소배열 기술의 단위24 3.2 음절구조제약25 3.2.1 음절구성제약25 3.2.2 음소연결제약25 3.3 음절연결제약29 3.3.1 CV $ CV 30 3.3.2 CVC1 $ C2V30 3.3.3 CV1 $ V2C324. 음운론적 단어 내에서의 음운현상35 4.1 형태소 결..
화행이론-간접 화행을 중심으로-안인숙 Ⅰ. 서언Ⅱ. 화행 유형과 간접 화행 이론Ⅲ. 간접 화행의 기능Ⅳ. 결어 참고문헌
환단고기강명원 ■ 서 론■ 본 론 1.「환단고기」란 어떤 책인가? ○ ‘환단고기’의 내용 ○ ‘환단고기’의 작자에 대하여 2.「환단고기」에서의 상고시대와 기존 단군신화의 비교 3.「환단고기」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논쟁 ○ ‘환단고기’는 사료로써 무가치 - 주장 ○ ‘환단고기’는 사료로써 가치 - 주장■ 결 론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