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5/09/28 (4)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이두·향찰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남풍현 Ⅰ. 이두와 향찰의 개념Ⅱ. 차자표기법의 문자체계Ⅲ. 이두와 향찰표기의 실제 참고도서
중세 국어 파생 접미사 연구구본관 1. 서 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1.3 연구대상 및 자료 1.4 용어의 문제 2. 15세기 국어 파생법의 분류 2.1 파생의 정의 2.1.1 어휘부와 조어 2.1.2 어휘부와 파생법 2.1.3 파생의 유형 2.2 접사 파생 2.2.1 파생접미사의 정의 2.2.1.1 기존 논의의 검토 2.2.1.2 파생접미사의 특징 2.2.1.3 결합단위로서의 파생접미사 2.2.2 파생접미사의 변별기준 2.3 비접사 파생 2.3.1 영변화파생 2.3.2 내적 변화 2.2.2.1 자음교체 2.2.2.2 모음교체 3. 명사형성 파생접미사 3.1 전반적인 검토 3.2 '-개' 3.3 '-이' 3.4 '-ㅇ·ㅁ' 3.5 '-ㅇ·ㅣ' 4. 형용사형성 파생접미사 4.1 전반적인 검토..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박진호 1. 서론1 1.1. 문제의 제기: 최소의 이론1 1.2. 연구 대상 및 논의의 구성 2 2. 형태론과 어휘부 4 2.1. 기본 단위의 설정4 2.1.1. 단어 개념을 둘러싼 문제들4 2.1.2. 통사론의 기본 단위: 통사원자6 2.1.3. 소위 통사적 단어 형성7 2.2. 국어 형태론의 영역9 2.2.1. 굴절의 폐기9 2.2.2. 통사원자 형성론10 2.2.2.1. 공시성과 통시성의 문제10 2.2.2.2. 어휘화13 2.3. 어휘부의 구성15 2.3.1. 하향 형태론 대 상향 형태론15 2.3.2. 규칙 중심의 형태론 대 관련성 중심의 형태론17 2.3.3. 국어 어휘부의 모형18 3. 성분구조와 의존관계 21 3.1. 통사원자들의 부류21 3.2. 의존성의 종류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