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현대국어 구적 접미사에 대한 연구최형강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기존의 연구 검토2 1.2.1. ‘-답-’에 대한 연구2 1.2.2. ‘-하-’에 대한 연구4 1.2.3. ‘-싶-’에 대한 연구5 1.2.4. ‘-같-’에 대한 연구5 1.3. 논의의 구성6 2. 파생과 문법화의 정도 문제8 2.1. 파생 접사의 선정 기준8 2.2. 파생 접사의 유형9 2.3. 파생의 유형13 2.4. 파생 접사의 문법화 정도15 3. 구적 접미사의 성격23 3.1. 구적 접미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23 3.2. 구적 접미사와 어휘적 접사27 3.3. 구적 접미사의 형성 원리30 4. 구적 접미사 구성에 대한 검증36 4.1. ‘-답-’ 구성36 4.1.1. 의존 형용사 ‘답-’과 구적 접미사 ‘-답-’3..
현대 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박재연 1. 서론1 1.1. 연구 목적 1 1.2. 논의의 구성2 2. 이전 논의에 대한 검토3 2.1. 반말의 속성과 관련한 연구3 2.2. 개별 어미의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7 3. 반말의 개념과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11 3.1. 반말의 개념11 3.1.1. 반말의 정의11 3.1.2. 반말의 특성22 3.1.2.1. 어체와 관련한 특성23 3.1.2.2. 청자대우법과 관련한 특성25 3.1.2.3. 문장 유형과 관련한 특성27 3.1.2.4. 양태와 관련한 특성 28 3.2.2.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에 따른 몇 가지 문제30 4. 반말체 종결어미의 종류와 통사적 특성41 4.1. 연결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44 4.2. 인용구성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61..
현대 국어 보조용언 연구 이선원 1. 서론2. 연구사 검토3. 보조용언의 개념4. 보조용언 구문의 통사론5. 보조용언 구문의 의미론6. 결론 참고 문헌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1949년 9월 25일 `조선어 학회`에서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꿈. `한글 학회`는 `국어 연구 학회(1908.8.31.)`, `배달 말글 몯음(1911.9.3.)`, `한글모(1913.3.23.)`, `조선어 연구회(1921.12.3.)`, `조선어 학회(1931.1.10.)` 로 발전했다. {한글 학회} 자료: 한글 학회 발자취
현대 국어 부정문 연구 국문 초록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연구사3 1.3. 논의의 구성5 2. 부정문의 개념7 3. 부정극어14 3.1. 부정극어의 개념14 3.2. 부정극어의 유형163.2.1. 결코, 전혀173.2.2. 별로213.2.3. 아무도243.2.4. 한 사람도273.2.5. 눈꼽만큼도293.2.6. 추호도31 3.3. 부정극어의 의미 기능32 4. 통사적 부정문과 어휘적 부정문36 4.1. 통사적 부정문364.1.1. 비명령형 부정문37 4.1.1.1. '아니'와 '못'37 4.1.1.2.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434.1.2. 명령형 부정문45 4.2. 어휘적 부정문484.2.1. '없다' 부정문494.2.2. '모르다' 부정문524.2.3. '아니다' 부정문5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