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잘못분석말을 다시 살핌-그 범위의 넓힘을 위하여-박홍길 1. 머리말2. 자료의 재정리3. 새 자료의 고찰 3.1. 녹아붙음말 3.1.1. /이/의 녹아붙음 3.1.2. /으()/의 녹아붙음 3.1.3. ‘-ㄹ다’ 준말 문제 3.1.4. 한뿌리말과 녹아붙음 3.1.5. ‘들르다’ 문제 3.2. 끊김말 3.2.1. /이/의 끊김 3.2.2. /ㄹ/의 끊김4. 마무리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홍윤표, 이태영 1.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4 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4 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5 4.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6 5.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6 6. '칭송'과 '칭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7 7.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7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8 9. 남자 생식기 '불X'의 '불'은 무엇을 뜻하는 말로부터 온 것일까요?8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9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
"-적"의 통사와 의미 특성임유종 1. 들머리2. "적" 결합형의 통사 특성 2.1 "적" 결합형의 통사 범주 2.2 "적" 결합형의 기저문과 "인"의 임의 생략 3. "적"의 의미 3.1 "적"의 기본 의미 3.2. "적"의 문맥 의미4. 마무리
적합성 이론홍소영 1. 서론2. 그라이스 대화함축 이론의 제한점3. 스퍼머 앤드 윌슨의 적합성 이론4. 적합성 이론의 타당성5.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