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97년 12월 7일 소설가 복거일, 경향신문 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라 주장하여 영어 공용화 론이 불붙기 시작함.
「날개」에 이은 유기적 전기의 시노그라피정봉석 1. 절망과 기교로 이어진 유기적 전기2. 반목과 직시의 변증법적 구조3. 백지에 포석된 횡설수설의 조감도4. 퇴행에 의한 정동장애적 성격 5. 날개-희망과 허망의 원리
남과 북의 어휘상 차이최운정 1.서 론 ------------------------------------2 2. 본 론 -----------------------------------2 2.1 사전에 나타난 남북의 언어관 -----------------2 2.2 남북한의 표준말(표준어) ---------------------3 2.3 남북한의 어휘 비교 -------------------------4 2.3.1 의미가 상이한 단어 ---------------------4 2.3.2 이음동의어와 이철동의어 -----------------5 2.3.3 북한에만 존재하는 단어 ------------------6 2.3.4 속어와 비어 ---------------------------7 2.3.5 전투 용어 -..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1957년 12월 6일 한글 전용 실천 요강(국무회의의결 1958.1.1 부터 시행) (1) 공문서는 반드시 한글로 쓴다. 그러나 한글만으로 알아보기 어려운 말에는 괄호를 치고 한자를 써 넣는다. (2)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은 반드시 한글로 한다. (3) 각 기관의 현판과 청 내 각종 표지는 모두 한글로 고쳐 붙인다.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한자나 다른 외국어로 쓴 현판 표시를 같이 붙일 수 있되, 반드시 한글로 쓴 것보다 아래로 한다. (4) 사무용 각종 인쇄 및 등사도 한글로 한다. (5)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관인 기타 사무용 각종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