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 순화손순희 1. 서론 …………………………1 (국어순화의 정의) 2. 본론 …………………………1 2.1. 우리말 발전의 저해요인 …………1 2.1.1 국어 속에 숨어있는 일본말 …………2 2.1.2 국어 속의 서양말 잔재 …………3 2.1.3 외국말 홍수의 실태 …………5 2.2 우리말 정리의 중요성 …………6 2.3 우리말 가꾸는 방법 …………7 2.4 국어 보존․발전의 방향 …………10 3. 결론 …………………
국어 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허웅 Ⅰ. 현대 한국어의 실태와 그 분석 1. 우리말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2. 우리 낱말 체계가 안고 있는 문제 3. 문제의 요인 분석Ⅱ. 순화해야 하는 근본 이유 몇 가지 1. 언어의 전달 기능으로 보아서 2. 말과 생각의 관계로 보아서 3. 말을 생성 창조의 본질로 보아서Ⅲ. 국어 순화의 방법 1. 토박이말의 순화 - 고운말 바른말 쓰기 2. 한문식 말투와 한자말 - 쉬운, 토박이말로 3. 서양 외래어 -쉬운 토박이말과 쉬운 한자말로 4. 일본말과 일본식 한자말 5. 마무리Ⅳ. 성공으로 이끄는 길 1. 반대 의견 2. 토이기의 예 3. 실천 방법
국어 순화와 올바른 언어 생활최종원 1. 국어 속에 도사리고 있는 일본말2. 국어 속의 서양말 찌꺼기3. 외국말 홍수의 실태3. 우리말이 나갈 길4. 우리말이 힘 펴는 길5. 맺음말 참고도서
국어순화(우리말 속의 일본어)이은애 서론2 본론2Ⅰ. 일본어의 간섭 3 1. 기원 전 2세기에서 기원 7세기까지3 2. 통일 신라 이후의 땅이름의 바뀜과 의식 구조3 3. 경덕왕(757) 때의 토박이말의 수난3 4. 고려(928)에서 조선조까지4 5. 조선조 초기에서 대한제국 말까지5 6. 이두식 표기를 살리고 우리말 깎아 내림5 7. 일제 침략 시대6 8. 1945년 광복에서 현재까지7 Ⅱ. 우리말 속의 일본말7 1. 잘못 쓴 일본말 찌꺼기8 2. 일본말 표현10 3. 우리말 바로 쓰기 11 Ⅲ. 국어 순화12 1. 국어순화 까닭과 방향12 2. 우리말이 힘 펴는 길12 3. 국어순화 교육14 결론15 참고 자료17
국어 어휘론의 지평김광해 가. 서설나. 어휘론의 대상과 영역 1. 어휘 연구의 대상 2. 어휘 연구의 영역 가) 어휘의 계량에 관한 연구 나) 어휘의 체계에 관한 연구 다) 어휘의 양상에 관한 연구 1) 어휘의 변이에 관한 연구 2) 어휘의 팽창에 관한 연구 라) 어휘소의 공시적 관계에 관한 연구 마) 어휘소의 통시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바) 어휘의 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 사) 광의의 어휘론 - 사전다. 어휘론의 기본 개념 - 어휘와 어휘소 1. 어휘 가) 개별적인 단어들의 집합 나) 단어들의 체계적인 집합 2. 어휘소라. 어휘력과 어휘교육 1. 어휘력과 언어능력 2. 어휘력의 위상 3. 어휘력의 가치 4. 어휘 교육마. 맺으며 참고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