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8)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 1914년 7월 27일【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글 학자 주시경(1876.12.22.~1914.7.27.) 세상 떠남. 황해도 봉산군 무등골에서 태어난 주시경은 배재학당과 이운학교에서 신학문을 공부하던 중 서재필을 만나 국어연구에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1896년 4월 창간된 독립신문에 국문 전용과 띄어쓰기를 실천했으며 같은 해 5월에 조선문동식회를 조직했는데, 해방 뒤 한글 학회로 발전했다. 또 협성회와 독립협회 등에 참여해 국민계몽과 국권회복운동에 앞장섰으며 , , , , , 등의 책을 지어 한글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1910년 경술국치로 나라를 잃은 뒤 보성중..
직업전문어의 특성과 유형 고찰강우규·정우선·김현자 Ⅰ. 머 리 말Ⅱ. 어휘의 양상 체계Ⅲ. 직업전문어의 특성과 유형 1. 전문어 또는 직업전문어의 특성 2. 직업전문어의 제 유형과 양상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의 현실 비판적 성격장양수 Ⅰ. 서론Ⅱ. 의식의 흐름이 부른 혼란Ⅲ. 병인 만드는 병든 현실에의 조소Ⅳ. 결론
중학생들의 어휘력 조사를 통해 본 어휘 교육의 필요성 1. 서론2. 어휘력의 개념과 어휘력 발달과정 (1) 어휘력의 개념 (2) 어휘력 발달과정3. 학생들의 어휘력 조사․분석 (1) 설문지 조사 목적과 조사방법 (2) 설문지 분석결과4. 결론
[국어의 격과 조사] 제 1 부 이론별 연구 1. 전통문법과 국어의 격 2. 구조문법과 국어의 격 3. 생성문법과 국어의 격 4. 격문법과 국어의 격 5. 어휘기능문법과 국어의 격 6. 기능문법과 국어의 격 7. 인지문법과 국어의 격 8. 내용중심문법과 국어의 격 제 2 부 분야별 연구(1) 1. 조사의 음운론적 연구 2. 조사의 형태론적 연구 3. 조사의 통사론적 연구 4. 조사의 의미론적 연구 5. 조사의 화용론적 연구 6. 조사의 어휘론적 연구7. 조사의 국어공학적 연구 8. 조사의 독서교육적 연구9. 조사의 작문교육적 연구10. 조사의 한국어교육적 연구11. 격의 비교언어학적 연구12. 북한의 격과 조사 연구 제 3부 분야별 연구(2) 1. 조사의 통시적 연구 2. 중세국어의 격 연구 3. 근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