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5/12 (92)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1957년 12월 6일 한글 전용 실천 요강(국무회의의결 1958.1.1 부터 시행) (1) 공문서는 반드시 한글로 쓴다. 그러나 한글만으로 알아보기 어려운 말에는 괄호를 치고 한자를 써 넣는다. (2)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은 반드시 한글로 한다. (3) 각 기관의 현판과 청 내 각종 표지는 모두 한글로 고쳐 붙인다.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한자나 다른 외국어로 쓴 현판 표시를 같이 붙일 수 있되, 반드시 한글로 쓴 것보다 아래로 한다. (4) 사무용 각종 인쇄 및 등사도 한글로 한다. (5)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관인 기타 사무용 각종 인..
남·북한 국어 문법의 통일홍종선 1. 머리말2. 남·북 규범 문법의 발전3. 남·북 규범 문법의 비교4. 문법 공동 연구와 통일 문법5. 마무리 참고 문헌
남북한 언어 문제 토론회[발표 요지. 한글 학회](2000.12.18)한글학회
남·북한 언어관과 통일시대 남북어 수용에 대한 고찰이미선 Ⅰ. 서론 --------------------------------- 3 Ⅱ. 본론 --------------------------------- 4 1. 남북한의 언어관 ------------------------------------------------------- 4 1-1. 남한의 언어관 ------------------------------------------------------ 4 1-2. 북한의 언어관 ------------------------------------------------------ 5 1-3. 남․북한 언어관의 비교 ----------------------------------------- 8 2. 남․북한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