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4/10/29 (44)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한글 간소화 파동. (이 승만 대통령 담화문)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맞춤법 시행 방침과 관련하여 정부측과 학계·문화언론계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 1949년 10월 9일 이승만 대통령이 당시 현행 한글 맞춤법의 까다롭고 어려운 점을 지적, 발표한 담화문이 한글파동의 동기가 되었다.
`조선어 학회`에서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꿈. `한글 학회`는 `국어 연구 학회(1908.8.31.)`, `배달 말글 몯음(1911.9.3.)`, `한글모(1913.3.23.)`, `조선어 연구회(1921.12.3.)`, `조선어 학회(1931.1.10.)` 로 발전했다.{한글 학회} 자료: 한글 학회 발자취
법률 제6호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2014년 10월 29일 수요일에 고친 내용입니다.고치기 전 고친 뒤 ● 1947년 7월 24일조선어 학회.‘한글 전용법 제정 건의문’을 내고, 국회 78차 회의에 상정. 재석 131명중 86대 22로 가결. ● 1948년 7월 24일조선어 학회.‘한글 전용법 제정 건의문’을 냈고, 1948년 10월 1일 국회 제78차 회의에 상정. 재석 131명중 86대 22로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한글전용법)이 가결 됨.{한글 학회} 자료: 한글학회 100년사 (2014/10/29 - [한말글 현대사/1946년~1950년] - ● 1948년 7월 24일) '한글학회 100년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잘못을 찾았고, 재확인을 학글학회 책임연구원 성기지 부장님과 페이스북 대화를 통해서 다시 확인하고 고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