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관용어의 통사·의미론적 제약 연구(김진해) 본문

곳간/한말글 곳간

관용어의 통사·의미론적 제약 연구(김진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5. 9. 14. 07:30

관용어의 통사·의미론적 제약 연구

김진해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2

    3. 연구 방법 6

Ⅱ. 본론 8

    1. 관용어의 성격 및 유형 8

       1.1 관용어의 성격 8

       1.2 관용어의 유형 15

         1.2.1. 체언형 관용어 15

         1.2.2. 용언형 관용어 19

         1.2.3 미완결형 관용어 20

    2. 관용어와 어휘부 22

       2.1. 어휘부의 성격 22

       2.2. 어휘부에서 관용어, 합성어, 구의 관계 28

         2.2.1. 관용어와 합성어 28

         2.2.2. 관용어와 구 31

         2.2.3. 관용어와 이른바 ‘N+V형 합성어’ 32

    3. 관용어의 형태‧통사론적 제약 39

       3.1. 관용어의 형태‧통사론적 제약 39

         3.1.1. 수식 39

         3.1.2 피동‧사동 변형 41

         3.1.3 대명사화 43

         3.1.4 주제화 44

         3.1.5 분열문 45

         3.1.6 삭제 45

         3.1.7 반복 48

         3.1.8 대치 48

         3.1.9 대립어의 존재 50

         3.1.10 부정 51

       3.2. 관용어와 논항 구조 53

    4. 관용어의 의미론적 제약 59

       4.1. 단일 어휘소 형성 : 통사적 변형에 대한 의미론적 동기 59

       4.2. 관용 의미와 직설 의미의 관계 65

    5. 관용어의 해석 기제 72

       5.1. 관용어의 해석 기제 72

       5.2. 관용어 우선 해석 규약 78

Ⅲ. 결론 82


참고문헌 85

요약 91




관형사형어미 '-ㄹ' 뒤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고찰.hwp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