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문금현) 본문

곳간/한말글 곳간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문금현)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5. 6. 30. 16:28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문금현




국문 초록

Ⅰ. 서론 1

    1.1. 연구사 1

    1.2. 반성 및 연구 방향 6

    1.3. 연구 자료 8


Ⅱ. 기본적 논의 17

    2.1. 용어의 개념 및 범위 설정 17

    2.2. 판정 기준 및 검증법 24

    2.3. 경계 문제 27

         2.3.1. 단어와 구의 경계에 있는 부류 28

         2.3.2. 구절 중에서 경계에 있는 부류 29

         2.3.3. 문장 내에서 경계에 있는 부류 33


Ⅲ. 유형 분류 36

    3.1. 형식적 차원의 분류 36

      3.1.1. 관용어 37

      3.1.2. 관용구 37

      3.1.3. 관용절 40

      3.1.4. 관용문 41

    3.2. 의미적 차원의 분류 44

      3.2.1. 의미 특성에 의한 분류 44

      3.2.1.1. 감정 및 심리 표현 44

      3.2.1.2. 행위 표현 45

      3.2.1.3. 상황 표현 45

      3.2.1.4. 일이나 존재 표현 45

   3.2.2. 의미의 투명성에 의한 분류 46

      3.2.2.1. 불투명한 유형 47

      3.2.2.2. 반불투명한 유형 47

      3.2.2.3. 반투명한 유형 48


Ⅳ. 어휘․의미론적 고찰 55

    4.1. 구성 어휘의 계열적 양상 55

    4.2. 구성 어휘의 변화 양상 58

    4.3. 본질적인 의미 특성 62

      4.3.1. 의미의 중의성 62

      4.3.2. 의미의 비합성성 64

      4.3.3. 의미의 불투명성 66

    4.4. 부차적인 의미 특성 67

    4.5. 어휘․의미의 특수 양상 72

    4.6. 의미 자질의 평가 75

    4.7. 의미의 상관 관계 77

      4.7.1. 유의 관계 77

      4.7.2. 반의 관계 82


Ⅴ. 화용론적 고찰 84

    5.1. 표현 양상과 의미 양상 84

    5.2. 상황의 차이에 따른 양상 : 양식과 문체 89

    5.3. 화자의 여건 차이에 따른 양상 90

      5.3.1. 세대 차이 91

      5.3.2. 성별의 차이 92

      5.3.3. 직업 및 교육 정도의 차이 93


Ⅵ. 그 밖의 고찰 95

    6.1. 통사론적 고찰 95

      6.1.1. 통사 구조적 특징 95

      6.1.2. 통사적인 제약 97

    6.2. 사전학적 고찰 121

      6.2.1. 기존 사전의 등재 현황 121

      6.2.2. 거시 구조 124

      6.2.3. 미시 구조 135


Ⅶ. 결론 140


문헌 자료 및 약호 148

참고 문헌 154

부록 163

요약 177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hwp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