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요즘 배움책에서 살려 쓸 토박이말]8-홀소리 본문

토박이말 바라기

[요즘 배움책에서 살려 쓸 토박이말]8-홀소리

토박이말바라기 2021. 12. 6. 08:49

[요즘 배움책에서 살려 쓸 토박이말]8-홀소리

1학년 학기 국어 배움책(교과서) 셋째 마당 ‘다 함께 아야어여’에서는 “모음자를 알아봅시다.”라는 말을 앞세우고 모음자 모양 알기-모음자의 이름 알기-모음자 찾기-모음자 읽기-모음자 쓰기-모음자 놀이하기의 차례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마련해 놓았습니다.

 

앞서 ‘자음자’ 이야기를 할 때도 말씀을 드린 것처럼 교과서에 ‘모음자’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가르치는 선생님도 배우는 아이도 ‘모음자’라는 말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왜 ‘ㅏ,ㅑ,ㅓ,ㅕ...’같은 것을 왜 모음이라고 하는지 궁금해 물어도 ‘어미 모’, ‘소리 음’이라는 한자 풀이를 넘어 더 쉽게 풀이해 줄 수 있는 선생님도 많지 않은 게 참일입니다.

 

제가 1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겪어 본 바에 따르면 ‘모음’보다 ‘홀소리’라는 말을 더 쉽게 알아차리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이들에게 ‘ㅏ’부터 ‘ㅣ’까지 열 가지 소리를 다 내어 보라고 한 다음 앞서 ‘닿소리’가 우리 입술이나 입안 어디엔가 닿아서 나는 소리였다는 것과 견주어 보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면 닿소리와 달리 아무데도 닿지 않고 소리가 난다는 것을 쉽게 알아차립니다. 이처럼 ‘ㅏ,ㅑ,ㅓ,ㅕ...’같은 소리는 우리 입술이나 입안 어디엔가 닿지 않고 제 홀로 나는 소리이기 때문에 ‘홀소리’라고 한다고 하면 아이들은 바로 알겠다고 했습니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1학년 아이들에게는 ‘모음’보다 ‘홀소리’라는 말이 훨씬 쉬운 말입니다. 온 나라 선생님들과 아이들이 ‘모음’, ‘모음자’가 아닌 ‘홀소리’, ‘홀소리 글자’라는 말로 한글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해 주면 좋겠습니다.

 

좀 더 나아가 이 홀소리는 세종 임금께서 ‘훈민정음’을 만드실 때 ‘하늘’, ‘땅’, ‘사람’이 어우러져 사는 우리 삶을 나타낸 것이라는 것까지 똑똑하게 알려주면 참 좋겠습니다.

 

오늘도 토박이말에 마음을 써 봐 주시고 좋아해 주시며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시는 여러분 모두 고맙습니다. 

 

4354해 온겨울달 엿새 한날(2021년 12월 6일 월요일) 바람 바람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모음 #홀소리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교과서 #국어 #1-1

 

*이 글은 아이좋아 경남교육 매거진에 실은 글을 깁고 더한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