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절구조의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조성문)
국어 음절구조의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조성문
◇ 국문 요지
1. 서론 …………… 1
1.1. 연구 목적과 방법………… 1
1.2. 선행 연구 3
1.2.1. 단선 음운론 ………… 4
1.2.2. 복선 음운론 ………… 5
1.2.3. 제약 중심의 음운론 6
2. 최적성이론 … 8
2.1. 최적성이론의 형성 배경 9
2.2. 최적성이론의 원리 ……… 11
2.2.1. 기본 체계…………… 11
2.2.2. 원리 14
2.2.3. 평가 방법…………… 16
2.3. 대응이론 19
3. 음절구조 …… 23
3.1. 음절의 필요성 …………… 23
3.2. 국어의 음절구조 ………… 28
3.2.1. 계층적 음절구조…… 28
3.2.2. 전이음의 위치……… 45
4. 음절구조제약 51
4.1. 제약의 설정 ……………… 51
4.2. 등급의 설정 ……………… 55
4.3. 음절말 제약 ……………… 60
4.3.1. 중화 61
4.3.2. 자음군 단순화……… 63
4.3.2.1. 선행 연구 ……… 64
4.3.2.2. 표준어의 분석 … 73
4.3.2.3. 경상방언의 분석 77
4.3.2.4. 통시적 접근 …… 79
5. 음절연결제약 86
5.1. 선행 연구 87
5.2. 제약의 설정 ……………… 92
5.3. 용언의 자음군 단순화 … 97
5.4. 자음동화 108
5.4.1. 조음방법동화 ………108
5.4.2. 조음위치동화 ………117
6. 결론 …………126
참고 문헌 ……131
요약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