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세기 일본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연구(사노미에코)
17·18세기 일본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연구
사노미에코
초록
I.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1.2 연구 자료 1
1.2.1. 연구 자료와 연구사 1
1.2.2. 한국어사 연구에 대한 기여 2
1.3. 논의의 구성 2
Ⅱ. 십칠·십팔세기의 일본 자료에 대한 검토 3
2.1. 서지 사항 3
2.2. 책의 내용과 구성 10
2.3. 십칠·십팔세기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 12
2.4. 한국어와 그 가명 표기의 대응 15
2.4.1. 가명로 표기된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방침 15
2.4.2. 한국어와 그 가명 표기의 대응표 16
2.4.3. 가명 표기의 특징 45
2.4.3.1. 모음 45
2.4.3.1.1. 'ㆍ' 45
2.4.3.1.2. 이중모음 50
2.4.3.1.3. 'ㅕ' 51
2.4.3.2. 자음 54
2.4.3.2.1. 각 자음 54
2.4.3.2.2. 어두 자음군 58
2.4.3.2.3. 어간말 자음군 60
2.4.3.2.4. 음절말 'ㅅ'과 'ㄷ' 61
Ⅲ. 17·18세기의 일본 자료로 본 한국어 65
3.1. 음운 65
3.1.1. 자음 65
3.1.1.1. 'ㅿ' 65
3.1.1.2. 구개음화 65
3.1.1.2.1. ㄷ 구개음화 66
3.1.1.2.2. ㅎ 구개음화 69
3.1.1.2.3. ㄴ 탈락 69
3.1.1.5. 기타 69
3.1.2. 모음 69
3.1.2.1. 비어두 음절에서의 'ㅗ>ㅜ' 경향 70
3.1.2.2. 장음 70
3.2. 문법 및 어휘 71
3.2.1. 문법 71
3.2.1.1. ㅎ 말음 명사 71
3.2.2. 어휘 72
3.2.2.1. 수록 어휘 72
3.2.2.2. 고유어, 한자어와 차용어 72
3.2.2.3. 표제어와 가명로 표기한 한국어와의 대응 75
Ⅳ. 결론 80
참고문헌 82
부록 84
출전 및 약호 84
수록 어휘 86
ABC 순 색인 126
요약 139
표 목차
<표 1> 17세기 후반까지의 일본어 음절과 「고려사지사에서 그것을 표기한 글자 13
<표 2> 십팔세기 초엽 이후의 일본어 음절과 『왜한삼재도회』와 『조선물어』에서 그것을 표기한 글자 14
<표 3> 오기, 탈자로 보이는 예 16
<표 4> 「고려사지사」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17
<표 5> 「고려사지사」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18
<표 6> 「고려사지사」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3) 19
<표 7> 「고려사지사」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4) 20
<표 8> 『왜한삼재도회』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21
<표 9> 『왜한삼재도회』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22
<표 10> 『왜한삼재도회』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3) 23
<표 11> 『왜한삼재도회』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4) 24
<표 12> 『조선물어』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25
<표 13> 『조선물어』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26
<표 14> 『조선물어』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3) 27
<표 15> 『조선물어』 2.4.2.1.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4) 28
<표 16> 「고려사지사」 2.4.2.2.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29
<표 17> 「고려사지사」 2.4.2.2.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30
<표 18> 『왜한삼재도회』 2.4.2.2.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31
<표 19> 『왜한삼재도회』 2.4.2.2.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32
<표 20> 『조선물어』 2.4.2.2.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1) 33
<표 21> 『조선물어』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관계 (2) 34
<표 22> 「고려사지사」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 표기와의 대응 관계 35
<표 23> 「고려사지사」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 표기와의 대응 관계 36
<표 24> 『왜한삼재도회』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 표기와의 대응 관계 36
<표 25> 『왜한삼재도회』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 관계 37
<표 26> 『조선물어』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안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 관계 37
<표 27> 『조선물어』 이중모음의 표기: 표기가 동요하고 있는 한국어와 일본어 가명와의 대응 관계 38
<표 28> 「고려사지사」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1. a행~na행) 39
<표 29> 「고려사지사」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2. ha행~wa행) 40
<표 30> 「고려사지사」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3. ga행~pa행) 41
<표 31> 『왜한삼재도회』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1. a행~na행) 41
<표 32> 『왜한삼재도회』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2. ha행~wa행) 42
<표 33> 『왜한삼재도회』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3. ga행~pa행) 42
<표 34> 『조선물어』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1. a행~na행) 43
<표 35> 『조선물어』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2. ha행~wa행) 44
<표 36> 『조선물어』 가명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기 (3. ga행~pa행) 44
<표 37> ''와 ''의 표기 49
<표 38> 'ㅕ'의 표기 54
<표 39> 'ㅂ'과 'ㅍ'의 표기 55
<표 40> 자음의 표기 58
<표 41> 어두 자음군의 표기 59
<표 42> 어간말 자음군의 표기 60
<표 43> 'ㄷ' 구개음화: 「고려사지사」 66
<표 44> 'ㄷ' 구개음화: 『왜한삼재도회』 67
<표 45> 'ㄷ' 구개음화: 『조선물어』 68
<표 46> 품사별 어휘 분류 72
그림 목차
<그림 1> 『음덕기』 제칠십육권 「고려사지사」 11장 뒤 4
<그림 2> 『왜한삼재도회』 제십삼권 「이국인물 조선어」 17장 앞, 동 16장 뒤 해당 부분 6
<그림 3> 『조선물어』 제십오권 「조선의국어」 8장 뒤 8
<그림 4> 『회입 이국 여연旅硯』 제사권 7장 앞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