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이진호
1. 머리말 1
1.1.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1
1.2. 연구사 개관 4
1.3. 논의의 구성 7
1.4. 연구 자료 7
2.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과 통시적 변화 12
2.1.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 12
2.1.1. 중세국어의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과 음운론적 해석 12
2.1.1.1.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 12
2.1.1.2. 목록상의 빈칸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25
2.1.2. 근대국어의 어간말 자음군 목록과 음운론적 해석 32
2.1.2.1.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 32
2.1.2.2. 목록상의 빈칸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37
2.1.3. 현대국어의 어간말 자음군 목록과 음운론적 해석 40
2.1.3.1. 어간말 자음군의 목록 41
2.1.3.2. 목록상의 빈칸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43
2.1.4. 종합적 검토 45
2.2. 어간말 자음군의 통시적 변화 46
2.2.1. ㄱ이 선행하는 경우 47
2.2.2. ㄴ이 선행하는 경우 47
2.2.3. ㄹ이 선행하는 경우 48
2.2.4. ㅁ이 선행하는 경우 58
2.2.5. ㅂ이 선행하는 경우 58
2.2.6. ㅅ이 선행하는 경우 58
2.2.7. 종합적 검토 61
3. 자음군 단순화의 통시론적 고찰 63
3.1. 중세국어의 자음군 단순화 63
3.2. 근대국어의 자음군 단순화 77
3.3. 현대국어의 자음군 단순화 80
3.4. 종합적 검토 86
4. 자음군 단순화와 관련된 음운현상의 통시론적 고찰 88
4.1. 유음화 88
4.1.1. 문제 제기 88
4.1.2. 유음화의 통시론적 고찰 92
4.1.3. 자음군 단순화와 유음화의 관련성 94
4.2. 비음화 96
4.2.1. 문제 제기 96
4.2.2. 비음화의 통시론적 고찰 97
4.2.3. 자음군 단순화와 비음화의 관련성 99
4.3. 경음화 110
4.3.1. 문제제기 110
4.3.2. 경음화의 통시론적 고찰 110
4.3.3. 자음군 단순화와 경음화의 관련성 113
5. 맺음말 121
참고논저 124
요약 133